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Study on the Planning of Eco Museum for Sustainability of Local Cul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7.02
15P 미리보기
A Study on the Planning of Eco Museum for Sustainability of Local Culture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2권 / 1호 / 9 ~ 23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이종세, 김주연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With the paradigm shift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competitiveness and cultural value of the countries, cities and regions are picking up more attention. This is due to the growing desire for cultural fulfillment and quality of life in modern people and the growing interest in local settlement environment and place that can satisfy them. Therefore, to have locally cultural uniqueness and competitiveness,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interest over the strategy of “Place Marketing” through cultivating cultural identity. In the modern society, culture and place are important, and the eco museum is introduced as a key means of regional activation strategy, showing various achievements of local value enhan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eco museum in terms of location marketing that can enhance differentiated regional image by preserving and developing local heritage. (Method)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ultural space and the eco museum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eco museum‘s strategical effectiveness.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structed place, five element of eco museum are derived from applying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and four elements of sustainable space composition are proposed to maintain the highlighted property of place. We analyz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ccess stories bas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place of locality derived from the above and verify the value of the eco museum. (Results)First, I found out the majority of the eco museums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created the places with the well-preserved of local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network led by them, and research activities. Second, the eco museum, which uses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not only promotes local culture but also promotes local economy, thereby creating a synergy effe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the place. Third,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eco museum strengthen its locality by creating charming space that engenders atmosphere suitable for exchange of feelings, communicate, share common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 people around them. (Conclusions)In this study, the eco museum for the continuous innovation of the local culture has l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local and local residents, better off the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promoting regional tourism, the education of the local people and culture. As a result,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s are enhanced. The eco museum is an cultural space and a communication platform that links people and space to discover the potential value inherent in the place, create new value, and connect the present to the future roots in the past. Creating such future-oriented region will serve as another form of communal development, and serve as a cultural asset to strengthen c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