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星齋 柳台衡의 현실인식과 개혁론 (Samseongjae(三星齋) Ryu Tae‐hyeong’s (柳台衡) Perception of Reality and Reform Theo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5.02
31P 미리보기
三星齋 柳台衡의 현실인식과 개혁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22호 / 117 ~ 147페이지
    · 저자명 : 이욱

    초록

    이 글은 19세기말의 학자이자 관료인 류태형의 사상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는 부평에 세거하던 진주류씨(晉州柳氏) 시시내(始川) 문중의 일원이었다. 그의 집안은 부평을 대표하는 명문가였으나, 정치적으로 소수파였던 소북계(小北系)에 속하였다. 이러한 환경은 그의 생애와 사상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이른바 임술농민항쟁과 대원군 집권기, 그리고 문호개방에 걸쳐있었다. 그의 현실 인식과 개혁론은 이러한 시대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는 고루한 주자학자를 비판하면서 실용적이고 창조적인 사고 전환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조선사회에 만연한 폐단들을 개혁하자고 주장하였고, 제국주의 열강에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골몰하였다.
    국내 정치 상황과 개혁 방법에 대한 그의 인식은 대원군의 그것과 궤를 같이 하였다. 그는 1862년 농민항쟁의 근원이 조세정책의 잘못된 운영에 있다고 파악하였다. 때문에 삼정(三政)의 운영상의 폐단을 바로 잡자고 주장하였다. 특히 그의 개혁안 중에서 특기할만한 것은 환곡제도 개혁이었다. 그는 환곡 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환곡이 장부상으로만 존재한다는데 있다고 보았다. 때문에 국가와 관료, 그리고 일반 백성들이 모두 부담하여 원곡을 보충하자고 하였다. 그리고 이로 인한 야기되는 경비 부족문제는 현인 1인당 한 개의 서원만 허용하고, 나머지 서원은 모두 혁파하여 국가재정에 귀속시키자고 하였다. 아울러 대원군의 개혁정책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
    한편 대외관계에 대한 인식은 전형적인 동도서기론자(東道西器論者)라고 할 수 있었다. 그는 무분별한 서양문물의 도입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대포를 비롯한 서양의 무기와 서양의 과학 문명은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자고 주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양세력의 침탈을 막아내자는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주자학에 대해 개방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는 여타 주자학자와 달리 학문을 연구함에 있어 주자의 주석에만 의존하는 태도를 비판하였다. 오히려 스스로의 실천과 진지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요체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자세가 실용적인 서양의 무기와 과학 문명을 긍정적으로 파악하게 하였고, 그것의 적극적인 도입을 주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사상은 동도서기론 중에서도 좀더 발전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hilosophy of Ryu Tae‐hyeong, a scholar and bureaucrat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its characteristics. Ryu was a member of the Sisinae (始川) clan of Ryu’s family from Jinju. His family was a prestigious family representing Bupyeong, but belonged to the Sobuk line (小北系), a political minority. This environment is believed to have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his life and the development of his philosophy.
    His life extended through historic events such as the so‐called 1862 Peasant Uprising, the reign of Prince Daewongun, and the opening of the country to foreign powers. His perception of reality and reform theory were closely linked to such historical situations. He criticized narrow‐minded Neo‐Confucian scholars, and advocated pragmatic and creative thinking. He asserted reforming evil practices prevalent throughout the Joseon society, and committed himself to making strategies to cope with imperialist powers.
    His perception of domestic political situations was on the same line with that of Daewongun. He believed that the root of the 1896 Peasant Uprising was in the inadequate operation of the tax policies. For this reason, he argued for the thorough reform of the three levies (三政). In order to correct evil practices in military service, he maintained the reform of private academies, and proposed a unique reform plan for the seed grain loan system. In addition, he expressed his active support for Daewongun’s reform policies.
    As to his perception of foreign relations, on the other hand, he can be called a typical theorist of Dong‐do‐seo‐gi (東道西器論者–theory pursuing Eastern moralities and Western things). He was negative against the indiscreet import of Western civilization. Nevertheless, he insisted on active import of Western weapons including cannons and Western scientific civilization. His intention was to resist Western powers’ invasion and exploitation. These arguments came from his open attitude toward Neo‐Confucianism. Different from other Neo‐Confucian scholars, he criticized the attitude of relying only on Chu Hsi's annotations in study. Rather he believed it more important to grasp the essence of learning through practice in person and serious research. This attitude led him to recognize Western pragmatic weapons and scientific civilization, and advocated the active import of these things. In this sense, his philosophy is considered a somewhat advanced form of the theory of Dong‐do‐seo‐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