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中代 成典寺院과 密敎 -중대 國家儀禮의 視覺化와 관련하여- (Seongjeonsawon temple(成典寺院) and Esoteric Buddhism of the Middle Sill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5.06
33P 미리보기
新羅 中代 成典寺院과 密敎 -중대 國家儀禮의 視覺化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44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윤선태

    초록

    사천왕사(四天王寺)는 당(唐)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밀교승 명랑(明朗)의 주도 하에 창건되었다. 신라는 『금광명경(金光明經)』에 기초한 기존의 사천왕호국신앙(四天王護國信仰)과 달리 거기에 『관정경(灌頂經)』의 오방신(五方神)과 문두루비법(文頭婁秘法)을 결합시키는 밀교적(密敎的) 작단(作壇)을 설행(設行)하였다. 명랑과 혜통(惠通)이 가지고 온 새로운 밀교적 작법(作法)은 신라를 지켜줄 무수한 천왕(天王), 신왕(神王), 용왕(龍王) 등의 모습을 직접 현현(顯現)시켜 오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보다 대중적이고, 감각적인 밀교의식(密敎儀式)이었다.
    양지(良志)는 사천왕사 목탑의 기단부에 사천왕천(四天王天) 아래 3개의 층급(層級)에 살았던 야차(夜叉), 존신(尊神) 등을 재해석하여 야차와 신장(神將)으로 형상화하고, 목탑의 계단(階段)을 밟아 탑신에 올라가는 길을 기단에 배치된 3개의 층급을 지나 사천왕천에 도달하는 길로 이미지화하였다. 일연(一然)이 이를 ‘팔부신장(八部神將)’이라고 한 것은 후대의 ‘팔부중(八部衆)’ 그 자체를 말한 것이 아니라, 이 신장들이 천왕(天王)을 도와 불법을 수호하는 그의 권속(眷屬)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양지는 천왕의 권속과 야차들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이를 신라인들의 눈앞에 현현시켜, 보이지 않는 사천왕의 더욱 강력한 힘을 확신하도록 유도하였다.
    한편 사천왕천 아래 3개 층급의 야차들이 사천왕의 발 아래에서 분리되어 탑의 기단을 장식하고 있다는 사실도 중요하다. 이로 인해 계단을 통해 이 목탑의 기단 위로 올라간 신라의 왕자(王者)가 소조신장상벽전(塑造神將像壁塼) 위의 테라스를 걷거나, 벽전 위에 서있을 경우, 그는 단순한 왕자가 아니라 3층급의 야차를 밟고 서있는 사천왕과 동격이 된다. 이처럼 사천왕사 목탑 기단의 벽전에는 중대권력을 정점화(頂點化)하려는 양지의 또 다른 언설(言說)이 숨어있었다. 문무왕은 거대 제국 당(唐)의 공격 앞에서도 사천왕사의 불교의례를 통해 절대적인 중심성을 회복했고, 밀교적 작단(作壇)으로 피어난 사실적인 소조상들은 그것을 모두가 보고 느끼게 하는 장(場)이었다.
    사천왕사 위 낭산(狼山)에 있었던 선덕여왕의 장지(葬地)가 도리천(忉利天)으로 표상되었듯이, 사천왕사는 수미산 정상의 도리천으로 올라가는 불국토 신라의 입구, 경계 지점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결국 사천왕사는 신라 왕경(王京)의 남방 끝에 불과한 공간이 아니라, 밀교의례 속에서는 불국토 신라의 입구이며, 이곳은 오방신(五方神)과 사천왕(四天王)이 지키는 불국토의 경계 지점이었다.
    이후 봉성사(奉聖寺) 창건으로 시작되는 밀교승 혜통이 주도한 신문왕대의 새로운 성전사원체제는 오방신(五方神)과 사천왕(四天王)으로 수호되는 신라 불국토를 더욱 시각적으로 표상하여 왕경의 사방(四方)으로 성전사원을 확대해나간 과정이었다. 왕경의 사방에 의도적으로 배치된 성전사원(成典寺院)들은 국가의례(國家儀禮)의 장(場)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곳은 왕경과 지방을 연결하는 접점이고, 지방인이 왕경으로 들어오는 입구이며, 왕경이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신라 국토 전체를 압축적으로 상징한다.
    신라 중대왕권은 기본적으로 당과의 사대적인 관계를 유지하려한 점이 있지만, ‘태종(太宗)’ 무열왕의 묘호(廟號) 문제로 알 수 있듯이, 대제국인 당과의 싸움에서 얻었던 자신감 또한 잃지 않았다. 성전사원에 기초한 신라의 독자적인 국가의례는 ‘호국(護國)과 왕실(王室)의 영속(永續)’을 기원한 중대왕권의 의지 속에서 창출되었으며, 중대왕실은 그러한 의례를 통해 신라국가를 천하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그것을 지배하는 자신의 절대성을 시각적으로 과시하려 하였다.

    영어초록

    Sacheonwangsa temple(四天王寺) was established by Esoteric Buddhist monk Myeongnang (明朗) to repel Tang's attack. The style of Esoteric Buddhism Myeongnang and Hetong(惠通) brought was more public, sensory Esoteric Buddhist style in order to feel with the five senses by directly showing the figures of the heavenly king, spiritual king, and dragon king and so on.
    Yangji(良志) realistically embodied the subordinate of the heavenly king and Yaksa and led to confirm stronger power of the four heavenly kings by revealing the figures in front of Silla people. Meanwhile, it is important for Yaksa to be decorated not at the beneath of the feet of the four heavenly kings but at the stereobate of the pagoda. At the wall of the stereobate of the pagoda of Sacheonwangsa, there is another intention of Yangji to make an issue of the important power. King Munmu recovered his power against Tang through Buddhist ritual of Sacheonwangsa, and the realistic images decorated with Esoteric Buddhist style were the symbols Silla people saw and felt it.
    The burial site of Queen Seondeok located at Nangsan(狼山) beyond Sacheonwangsa symbolizes Trāyastriṃśa(忉利天), so Sacheonwangsa was regarded as the entrance of Buddhist land Silla climbing to Trāyastriṃśa at the top of Sumisan mountain. Sacheonwangsa is eventually not the simple space at the south end of the capital but the entrance of Buddhist land Silla in Esoteric Buddhist ritual. It is the boundary spot of Buddhist land under heavy guard of the gods of five directions and the four heavenly kings.
    And then the new Seongjeonsawon system begun with the building of Bongseongsa temple(奉聖寺)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 led by Esoteric Buddhist monk Hetong, was more visually typical of Buddhist land Silla kept by the four heavenly kings and expanded Seongjeonsawan to the four directions of the capital. Seongjeonsawon at the four directions was the contact point connecting the capital and provinces, the entrance local people come in the capital, and the starting point the capital spreads out into the four directions. At this point, it compressively symbolizes the whole land of Silla.
    Keeping the submissive relationship with Tang basically, the royal authority of the middle Silla was full of confidence since the victory in the battle with Tang. The national ritual of Silla's own based on Seongjeonsawon was created in the will of the royal authority of the middle Silla praying for 'the protection of nation and permanence of the royal family'. The royal family became the center under the heaven and visually displayed their absoluteness through such rit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