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晉州城의 기능과 성내 시설의 변화 (Changes of the Facilities within Jinjuseong(晉州城) in Joseon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3.06
34P 미리보기
조선시대 晉州城의 기능과 성내 시설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5호 / 97 ~ 130페이지
    · 저자명 : 김준형

    초록

    晉州城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治所 부근의 산성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외적 방어 기능의 강화에 따라 성의 규모가 달라졌고, 조선후기에는 慶尙 右兵營이 들어서면서 좀더 체계적인 外城․內城 체제로 정비된다.
    이와 같은 진주성의 기능과 규모의 변화에 따라 성내에 들어서는 시설도 많이 달라진다. 그러나 조선전기에는 자료상의 제약으로 진주성 내에 城隍祠와 軍倉, 矗石樓 및 그 부속 건물, 引月堂, 軍器庫, 稤倉 등이 있었던 것만 확인된다. 왜적의 대대적인 공격에 대비해 성이 크게 확장된 임진왜란 때에도 자료의 한계로 인해 새로 축조된 시설들을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성벽을 따라 축조된 성문과 누각, 옹성에 대해서만 어느 정도 알 수 있을 뿐이다. 조선후기 진주성 내에 병영이 들어서면서 성내에는 병영과 관련된 건물들이 많이 축조된다. 진주성이 외성과 내성으로 구분되면서 병영과 관련된 건물은 내성에 집중된다.
    17세기에는 병영 상아와 이아, 관청, 수창, 후대청, 군기고 등이 들어선다. 촉석루와 涵玉軒이 중건되었고, 旌忠壇․彰烈祠․忠愍祠가 세워진다. 18세기 이후 사회변화에 따라 후대로 갈수록 건물 수가 늘어난다. 지방 아전들의 업무 분화 및 독자적 기구의 신설로 인해, 지방 감․병영 예하의 군종과 군사 액수가 증가하고 이와 관련된 기구가 만들어지면서, 관련 청사가 새로 지어진다. 또 환곡운영이 확대되면서 각종 창고도 늘어나게 된다. 19세기에 와서도 건물들은 더욱더 늘어난다. 19세기에 만들어진 각종 「진주성도」를 보면, 진주성 내에 여러 시설들이 밀집해 상당히 번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The scale of Jinjuseong was changed according to strengthening the defence capabilities of the external by maintaining Jinjuseong with a walled mountain fortress around the ruling place starting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was serviced with more systematic external․internal fortress forms by establishing Gyeongsang Province Woobyeongyoung(右兵營).
    Facilities in the Jinjuseong were changed a lot depending on its function and scale like this. However, in early Joseon Dynasty, only SeongHwangsa(城隍祠) and Gunchang(軍倉), Chokseokru(矗石樓) and its annex, Inwoldang(引月堂), a magazine, Xuchang(稤倉) etc within Jinjuseong were check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en Jinjuseong was expanded against Japan's large-scale attack, new constructed facilities couldn't be identifi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We examined a little about Gates and pavillions, breasted walls(壅城) constructed along the wall. Buildings associated with barracks were established in the Jingseong as barracks were built in Jinjuseong in late Joseon Dynasty. Buildings related to barracks were concentrated in the internal fortress as Jinjuseong was separat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fortress.
    In the 17th century, barracks Sanga(上衙) and Ia(貳衙), authorities, Xuchang, Hudaecheong(後大廳), a magazine were built. Chokseoku and Hamokheon(涵玉軒) were reconsturcted, Jeongchungdan(旌忠壇), Changryeolsa(彰烈祠), Chungminsa(忠愍祠) were constructed. Since the 18th century, the number of buildings increased toward generation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Varieties and amounts of the military under provincial Kamyeong, Barracks were increased due to provincial magistrates' task differentiation and the creation of their own organizations, organizations associated with this were created, the relevant buildings were newly built. In addition, various warehouses would be increased due to Hwangok(還穀) operation's expansion. In the 19th century, buildings were increased more and more. Various 「Jinju maps」 created in the 19th century showed fairly bustling appearance as multiple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within Jinjus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