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로 존재하는 섬,「이어도」의 정신분석적 독해 - 환상, 욕망, 반복 개념을 중심으로 - (Psychoanalytic Reading of E - Uh Island - from the perspective of illusion, desire, and repetition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6.12
43P 미리보기
언어로 존재하는 섬,「이어도」의 정신분석적 독해 - 환상, 욕망, 반복 개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52호 / 219 ~ 261페이지
    · 저자명 : 이은애

    초록

    본 연구는 이청준 작가의「이어도」를 정신분석적인 관점으로 독해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본고는 작품의 분석 과정에서 기존의 분석방법인 이론의 일방적인 대입, 즉 정신분석적인 이론을 가지고 작품을 환원론적으로 분석하는 태도를 지양하고 “문학은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다”는 입장을 견지하여 이미 하나의 문학작품은 곧 인간 주체의 심리적 현실 내지 심리 내의 세계인 무의식과 상동 관계에 있다는 시각을 유지한다.
    라캉의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는 명제를 수용한다면,  언어의 집합체인 문학작품 또한 무의식처럼 구조화 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문학작품은 인간 주체의 무의식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주는 반영물인 동시에 무의식의 세계와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소위 추리소설적, 탐색소설적 구조 또는 중층구조라고 명명되는 이청준 소설의 미로와도 같은 독특한 구조를 발생시키는데, 이 분석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기 위하여 연구자는 사건을 추적하는 탐정 같이, 때로 환자의 ‘증상’을 탐색하는 분석가처럼 소설작품이 노출시켜 흘러나온 작은 단서를 놓치지 않고 그 아리아드네의 실을 부여잡고 작품 속 증상의 시원이 있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는 치밀함을 보여야 한다.
    이러한 집필 의도를 가지고 소설「이어도」가 드러내 보인 인간의 욕망과 환상을 통해 그것이 구조적으로 작동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추적했다. 그 결과「이어도」는 인간 주체의 상실된 최초의 사랑의 대상인 큰사물을 향한 구애의 서사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아울러 ‘소설’은 잃어버린 ‘그것(큰사물, 또는 실재)’을 되찾고자 하는 욕망의 진실을 이어도라는 환상으로 치환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환상의 대상인 ‘이어도’라는 섬은 인간 심리의 상상계적 영역에 속하는 것이지만 기호가치를 가지는 언어화 작업을 통해 이어도 전설의 형태, 이어도 노랫말의 형태로 인간 심역에 꾸준히 반복, 재생산 되며 위치하게 된다. 상징적 가치를 획득하기 위함이다. 이것이 환상을 보존하기 위한 상징계적 작업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징계의 질서는 최후의 가치를 규정해 줄 마지막 기호형식의 부재로 말미암아 그 의미작업에 실패하게 된다. 이것이 ‘상징계의 실패’로서의 결핍, 즉 존재결핍에 해당하는 것이다. 인간 주체는 기억흔적으로만 간직되어 있는, 충족되고 완전한 그리움의 대상인 ‘큰사물’에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언어바깥’의 세계로서 ‘실재(계)’의 영역에서만 존재하는 ‘불가능성’의 세계인 것이다. 결국 욕망의 진실 찾기는 실패와 불가능성으로 끝난다. 천기자의 실종으로 영원히 보존될 것 같았던 이어도의 환상은 천기자가 주검으로 되돌아옴으로써 여지없이 깨지며 최초의 욕망의 대상을 만나려는 시도는 실현가능성의 범주가 아니라 그리움과 동경의 영역이라는 사실을 주지시켜 주고 있다.
    소설「이어도」는, 억압된 무의식 속의 완전한 사랑의 대상, 즉 큰사물이나 실재와의 의식적 타협 형성물로써 또는 욕망의 원인 대상(대상 a)으로써의 (이어도) 환상은 그 의미작용이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는 것과 욕망의 충족 체험 대상이었던 큰사물의 세계, 즉 실재는 불가능성으로만 남는다는 사실을 증명해 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psychoanalytic study of Lee Chung-joon's novel E-Uh Island. The methodology adopted is not another conventional approach whereby a literary work is analyzed by a reductionist method based on some psychoanalytic principle(s). Rather, our analysis is rooted in the premise that "literature is psychoanalysis' [psychoanalytic] unconsciousness," being grounded on the proposition that a piece of literary work is equivalent to human unconsciousness.
    If we accept Jacques Lacan's proposition that unconsciousness is structured like a language, then a literary work that is a culmination of language would also be structured like unconsciousness. Thus, it can be posited that a literary work is a reflection of human unconsciousness and is of equal value/significance as human unconsciousness.
    Being such, we are reminded of the uniquely detective-story-like and multi-layer-structured maze of Lee Chung-joon's novel(s). Thus, a successful execution of this investigation would require an extraordinary care not to overlook even a minute lead and a resolute persistence not to let go of the Ariadne's thread, as would be found in a resolute detective in pursuit of crime-solving or a dedicated physician in search for diagnose of a rare disease.
    Pursuing such methodology, this study tracks the human yearnings and fantasy as found in the E-Uh Island, and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 whereby such yearnings and fantasy structurally operate.
    Our finding is that the E-Uh Island is a courtship toward the lost (Big) Thing, that was the human’s original love. And the novel substitutes the yearning to regain the lost (Big) Thing by the fantasy of the E-Uh Island.
    Although the imaginary E-Uh Island belongs in the psychological sphere, the island’s legend and musical lyrics attain a symbolic value by being repetitive and reproduced by literary works.
    This corresponds to the symbolic, linguistic effort to preserve the fantasy. However, the symbolic order fails because it lacks the final symbolic that can define the ultimate value. Such is the deficiency of symbolism’s failure, i.e., deficiency of existence.
    Humans cannot reach the satisfying and longed-for the (Big) Thing based only on faint memories. Such attainment belongs in the sphere of impossibility which resides outside the realm of language.
    In the final analysis, the search for the truth of desire ends in failure and unfeasibility/impossibility. The fantasy of the E-Uh Island that appeared to be preserved by disappearance of Chun Gi-Ja is utterly destroyed by his death; and one comes to the realization that the attempt to face the primary wish belongs outside the realm of possibility. It only belongs in the realm of longing and yearning.
    What the E-Uh Island proves is that the fantasized, suppressed and unconscious object of love (be it the [Big] Thing, simulated symbolic artifact or object of craving) is destined to fail in its attempted effort; and that the world of the Thing, which is reality, remains unattainable/impo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