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경도 《대감굿》 무가 구성원리-지금섬 구송을 중심으로-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Daegam-gut≫ in Hamgyeong-d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4.12
35P 미리보기
함경도 《대감굿》 무가 구성원리-지금섬 구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 56권 / 51 ~ 85페이지
    · 저자명 : 구수정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함경도 《대감굿》 중 무가의 구성원리를 규명하고자 한다. 무가는 굿에서 무당이 부르는 핵심요소로 굿의 목적에 따라 그 내용과 음악이 달라진다. 특히 함경도굿은 서사성이 강한 굿이기 때문에 무가가 매우 중요하다. 함경도굿의 노랫말이 음악의 짜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지금섬 구송의 《대감굿》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경도 《대감굿》은 망묵굿이든 재수굿이든 전체 굿의 목적과 관계없이 음악구성이 같았다. 지금섬 일행은 이러한 구성을 “상애짓고 도속잡고 드러친다”라고 불렀다. 상애짓기는 긴 혼소박 장단에 창송으로 부르고, 도속잡기는 말하듯 낭송을 하다 긴 혼소박 장단에 창송으로 맺는다. 드러치기는 3.2.3소박이 두 번 반복되는 장단에 무가 한 장단, 간주 한 장단을 번갈아 연주한다. 《대감굿》에 구송되는 〈짐달언〉 서사무가는 도속잡기에서 부르는데 상황에 따라 생략한다.
    둘째, 지금섬이 연주하는 《대감굿》 상애짓기의 장단은 13.8.13혼소박→ 8.5.8혼소박→3.2.3혼소박으로 변화한다. 지금섬의 상애짓기는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장채순의 상애짓기에서 더 확장된 형태임이 밝혀졌다.
    셋째, 《대감굿》은 ‘장군풀이’ 사설을 사용한다. 장군풀이의 내용은 장군청배, 대감신 모시기, 장군풀이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 사설은 ‘청신에서 장군청배→오신에서 대감신 모시기 및 서사무가〈짐달언〉구송→송신에 장군풀이’ 3단계로 진행된다. 음악은 사설에 맞게 ‘장군청배에 상애짓기→대감신 모시기 및 서사무가에 도속잡기→장군풀이에 드러치기’의 큰 틀로 이루어져 음악과 사설이 긴밀한 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넷째, 《대감굿》은 각종 대감신 및 장군을 모시고 대접하며 축원을 목적으로 하는 굿이다. 대감ㆍ장군은 어느 집이든 나기 때문에 《대감굿》의 대감신은 누구나 섬기는 조상신을 뜻한다. 굿의 목적성은 장군풀이 사설에서 크게 드러난다. 《대감굿》은 망자를 위한 망묵굿의 다른 굿과 같은 음악 구성을 가지면서도 사설이 달랐다. 그 이유는 청신의 주체가 망자가 아닌 대감신을 위한 굿이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함경도굿의 ‘장군풀이’를 처음 학계에 소개하였으며, 특히 그동안 다루지 못한 함경도 재수굿을 연구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shamanism in Hamgyeong-do gut. A shaman song is a key element sung by a shaman in a gut, and its content and music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gut. In particular, Hamgyeong-do gut is a gut with strong narrative nature, so shamanic songs are very important. The results of extracting the shaman narration method focusing on 《Daegam-gut》 to see what correlation the lyrics of Hamgyeong-do Gut have to the structure of the music are as follows. First, Hamgyeong-do's 《Daegam-gut》, whether it is Mangmuk-gut, Jaesu-Gut, or other guts, has a musical composition that ‘Sang-ae, Dosok and Deuleochigi’. 〈Jim Dal-eon〉 The narrative shaman song into Dosok, but may be left out depending on the situation. Second, the rhythm of the Sangaejitgi of Daegamgut performed by Ji Geum-seom changes from 13.8.13honsobak → 8.5.8honsobak → 3.2.3honsobak. It was revealed that Ji Geum-seom's rhythm has a more expanded form than Jang Chae-sun's Sangaejitgi confirmed in previous research. Third, Daegamgut uses the ‘Janggunpuri’ narrative. The Janggunpuri is divided into three parts: Jangguncheongbae, Daegamsin Mosiggi, and Janggunpuri. This narrative proceeds in three stages: Cheongsin to Jangguncheongbae → Oshin to Janggunsin Mosiggi and Seosamugha <Jimdaleon> recitation → Songsin to Janggunpuri. The music i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way: Sangaejitgi in Jangguncheongbae → Dosokjabgi in Daegamsin Mosiggi and Seosamugha → Deuchiggi in Janggunpuri, so that the music and narrative are closely related. Fourth, 《Daegam-gut》 is a ritual for God. That is a ritual for worshiping various God of Daegam and generals and offering them blessings. A daegam or a general is an ancestor god that everyone worships because they come from every family. The purpose of gut is greatly revealed in the lyrics of Janggunpuri. Therefore, the reason why 《Daegam-gut》 has the same musical composition as other rituals of Mangmukgut but has different lyrics depends on who the subject of ancestor god is. This study first introduced the ‘Janggunpuri’ of Hamgyeong-do gut to the academic world, and found that the 《Daegam-gut》 of the shaman Ji Geum-seom from Hongwon, Hamgyeong-do and Lee Chan-yeop, a shaman who currently performs Hamgyeong-do gut, acquired a connection in terms of function and story. It is meaningf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