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서사전략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e Strategy in 'The Island Swallowed Myth')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8.09
29P 미리보기
&lt;신화를 삼킨 섬&gt;에 나타난 서사전략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71호 / 387 ~ 415페이지
    · 저자명 : 이현영

    초록

    본 논문은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의미와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신화 너머에 숨겨둔 속뜻을 통해 작가의 입장이나 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이청준 소설의 특질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2장에서는 아기장수 설화에 관한 알레고리적 독해 방법으로 분석했다. 본고는 아기장수 설화에 등장하는 아기장수, 부모, 권력층, 그리고 아기장수가 존재할 수 있도록 조력한 용마와 같은 주요 키워드들이 갖는 관계의 상징성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아기장수의 죽음을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앞뒤로 배치한 서술 장치 및 용마바위란 장소의 알레고리를 통해 4·3 사건의 대량학살이 벌어진 남선리 뒤 고갯길에 대한 공간적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한편 3장에서는 아기장수 변이형인 김통정 설화 속에 담긴 영웅과 이웃 간의 관계 상징성에 주목하였다. 이는 작가의 이전 소설들에서 나타난 이웃에 관한 소재들과도 관련시켜 살펴볼 수 있는데 이웃에 대한 작중화자의 두려움과 배신은 이 소설상에서도 전개된다. 4장에서는 이 소설에 숨겨진 서사적 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K시와 지팡이 사내의 횃불 행렬이 5·18 광주 민주화 항쟁으로 해석되어 온 것이 기존 논의들이라면 이와 달리 본고는 이러한 시간적 배치 자체를 5·18을 연상시키게끔 독자들을 압박하게 만드는 전략을 강구한 작가의 의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작가는 신화라는 알레고리를 통해 소설 속에서 벌어지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암시된 의미를 숨겨두어 독자들의 역할을 촉구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이청준은 독자들이 숨겨진 요소들을 찾지 못하도록 함정을 파둔 초기 소설 때와는 달리 후기 소설에 오게 되면 이른바 이청준식만의 ‘이중적 장치’란 전략을 구사한다. 요컨대 『신화를 삼킨 섬』은 독자들이 이청준의 숨겨둔 의도를 알아차리지 못하더라도 여러 뉘앙스들을 통해 작가가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차릴 수 있게 하거나 혹 텍스트를 꼼꼼하게 분석하는 독자들의 경우 작가가 위장한 장치들을 통해 그가 무엇을 감추기 위해 이러한 장치를 이용했는가 생각해 보게끔 만드는 전략을 보여준다. 작가의 이러한 서술 의도는 독서를 단순히 읽기만 하는 텍스트가 아니라 독자 스스로 텍스트 내부에 참여를 하여 즐기는 텍스트로써의 가능성을 여전히 유지시키면서도 소설의 긴장감을 잃지 않게 만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Allegoric meaning and aspects of ‘The island swallowed a myth’ And it aims to characterize Lee Chung-jun's novel by understanding the writer's position or intention through the meaning hidden beyond the myth. In Chapter 2, we analyzed the story of a baby hero as an Allegory reading. The book looked at the symbolic meaning and meaning of relationships among keywords such as a baby hero, parents, powerful people, and a dragon horse that help a baby hero to exist in a baby hero story. We also looked at the spatial meaning of the trail behind Namseon-ri, where the massacre took place, through Allegory, a narrative device that arranged the death of a baby hero, and a dragon horse rock. Meanwhile, Chapter 3 focused on the symbolic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ro and the neighbor in the legend of Kim Tong-jeong, a variation of a baby hero's story. This can also be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author's previous novels, which also unfolded the writer's fear and betrayal of his neighbors. Chapter 4 explores the epic strategy behind the novel. The existing discussions have been interpreted as a May 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However, this paper analyzed the intentions of the author, who came up with a strategy to pressure readers to remind them of the time layout itself of May 18. Through the Allegory of Mythology, the author seeks to play the role of the reader by hiding the suggestive meaning of the realistic problems in the novel. Interestingly, unlike the early novels that set up traps for readers not to find hidden elements, Lee Chung-jun uses the so-called dual-device strategy of Lee Chung-jun when he comes to later novels. In short, ‘The island swallowed a myth’ allows readers to recognize the writer's intentions through various nuances even if they do not realize Lee Chung Jun's hidden intentions. And, for readers who carefully analyze text, it shows a strategy that makes the writer think about what he used to hide through the disguised devices. The author's intention to describe the book is not just a read-only text, but rather to keep the reader from losing the tension in the novel while still maintaining the possibility of the text he enjoys by participating in it him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