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크로네시아 피스섬의 ‘진토리’ 연구 (Study of Jintori in Piss Isla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8.12
23P 미리보기
미크로네시아 피스섬의 ‘진토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54권 / 3호 / 145 ~ 167페이지
    · 저자명 : 이윤선

    초록

    미크로네시아 피스섬에 전해지는 ‘진토리’놀이를 관찰하였다. 미크로네시아에 광범위하게 전해지는 하카댄스와는 다른 계열임을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구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이 놀이가 일본의 미크로네시아 지배기간에 일본인에 의해 전파되었다는 점이었다. 하지만 놀이 과정 전반을 검토해봤을 때 한국의 강강술래 유형의 ‘술래잡기’놀이이자 ‘진놀이’의 형식이 재구성된 놀이라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일본의 민속놀이인 ‘진또리’와 술래잡기 놀이의 전형성을 갖고 있는 ‘히히구메’ 등이 있지만 피스섬의 진토리는 구성과 놀이 방식들이 동일하지는 않았다. 강제 징용된 한국인들이 일본인의 이름으로 전파한 놀이들이 재구성되었을 개연성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생각했다. 주 제보자인 베니또 시장이 한국인 오씨의 유복자라는 점도 의미심장하다 봤다.
    진토리 놀이는 우리의 강강술래처럼 원무를 구성하고 느린 곡에서부터 빠른 곡까지 노래를 부른다. 진놀이처럼 편을 갈라 겨루는 것이 아니라, 소녀 한명을 원 안에 배치하고 소년 한명을 원밖에 배치하여 놀이하는 ‘술래잡기’놀이의 일종이다. 노랫말은 추키어로 구성되어 있어 다 밝힐 수는 없지만 주로 소녀(처녀)들을 잡아가지 말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 사람들과 자기 땅에 대한 방어나 보호로 해석할 수 있다. 현지인들은 ‘진토리’의 ‘술래’를 ‘양거’ 즉 귀신이라 한다. 마치 중국의 ‘강시(僵尸)’처럼 껑충껑충 뛰어다니는 귀신이다. 땅과 바다 하늘 어디든 껑충껑충 뛰어오를 수 있는 존재라고 여긴다. 미크로네시아가 감당했던 식민지 경험들이 이런 캐릭터를 개발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영어초록

    I have observed Jintori play that is conveyed to Piss island Chuuk State Micronesia. It was a different kind of play, A wide range of haka dances in Micronesia. It was verified through various oral statements. This play was spread by Japanese soldiers, It happened during the Micronesian rule of Japan. But when I review the whole play process, It was a reconstructed play from play tag of Ganggangsullae and prisoners base play in Korea.
    There is Jintori, a Japanese folk play and Hihigume which is typical of playing catch up games in Japan, but Piss island's Jintori is different paly with composition and methods of paly.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plays preached by Koreans have been reconstructed who were forced to be sent to Japan. I looked at it significantly, the main informant mayor Benito is the posthumous child of Oh Korean.
    Jijtori play make a circle, sing songs from slow to fast like a Ganggangsullae in Korea. It does not compete like a Jinori game, place one girl in the circle and one boy outside the circle. It is paly that tag of Ganggangsullae. The lyrics are made up of Chuukese, so can not be known at all. But, I was cinfirmed it is composed of contents that do not take girls(virgins).
    It is interpreted as a defense and protection against their own people and their own land. The locals say, Sullae of Jintori is Iangke in other words ghost. It is tittuppy ghost like a frozen corase in China. It is considered to be a jumpable entity, anywhere in the sky and land or sea. They developed this character through the colonial experiences that Micronesia had undertak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