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량』에 수록된 경성제대 조선인 예과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 이숭녕의 「허부인난설헌」을 중심으로 - (An essay on Cheongnyang(淸凉) written by a pre-college student at Keijo(京城) Imperial University - It focuses on the Heobuin-Nanseolheon(許夫人蘭雪軒) written by Sungnyeong Lee(李崇寧) -)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9.02
58P 미리보기
『청량』에 수록된 경성제대 조선인 예과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 이숭녕의 「허부인난설헌」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67호 / 361 ~ 418페이지
    · 저자명 : 허찬

    초록

    경성제국대학 예과생이었던 이숭녕이 『청량』에 투고한 「허부인난설헌(許夫人蘭雪軒)」은, 조선이라는 시공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출현한 여류시인 난설헌을 조명한 논문이다. 이숭녕은 이 논문에서 난설헌이 처한 유교 주심의 조선사회의 부정적인 면모를 적극적으로 부각시키는 한편, 그가 경험했던 고난과 시인으로서의 성취는 다소 과장하였다. 이숭녕은 근대 교육의 수혜자로서 과거 조선의 불합리한 현실을 인정하는 한편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문인이 배출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조선문학의 우수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획은, 가깝게는 조선문화의 독자성을 부정하였던 경성제국대학 교수였던 다카하시의 논의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고, 멀리 일본과 대만의 구제고등학교와 제국대학 예과생들을 향해 조선적인 것의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창간 초기의 『청량』은 조선인 학생들의 이러한 노력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잡지이다. 조선인 예과생들이 쓴 조선학 관련 논문을 살펴보면 유교를 적극 부정하고 서구지향적 교양주의를 추구하는 등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학술의 장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대응은 제국주의에 대한 조선인 학생들 나름의 소극적인 저항의 방식이었고, 『청량』은 민족주의적 면모를 드러내는 창구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본고는 이숭녕의 허난설헌 논의에 주목하였다.

    영어초록

    Heobuin-Nanseolheon(許夫人蘭雪軒) on Cheongnyang(淸凉), written by Sungnyeong Lee(李崇寧), a pre-school student at Keijo(京城) Imperial University, is an academic essay about Nanseolheon(蘭雪軒), a female poet that appeared despite the time and space limitations of Chosun society. In this paper, Lee actively highlights the negative aspects of the Confucian-led Chosun society, which is under Nan Sul-hun, while exaggerating the hardships and achievements he experienced as a poet. As a beneficiary of modern education, he acknowledged the unreasonable realities of the past Chosun Dynasty, and tried to emphasize the excellence of Chosun literature through the fact that outstanding writers were still produced. The project was designed to counter Takahashi, a professor at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who denied the independence of Chosun culture.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meant to show the Chosun Dynasty to the students of relief high schools and Imperial College in Japan and Taiwan. In its early days, Cheongnyang is a remarkable magazine in that it provides a glimpse of the efforts of Korean students. Looking at academic essayies about Chosun written by Chosun students, a common ground is found, such as actively denying Confucianism and pursuing Western-oriented liberal arts. This response made in the academic chapter was a passive way of resistance by the Chosun students to imperialism, and Cheongnyang served as a window to the nationalist side. To confirm this aspect, this study was focused on Lee's discussion of Nanseolh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