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寒洲學派 心說의 易철학적 전개(1) - 寒洲 李震相의 「河圖」 해석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Hanju School’s Theory of Heart-Mind Based on Yi Philosophy(1) - Focusing on Hanju(寒洲) Yi Jinsang(李震相)’s Interpretation of the Hetu(河圖)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5.03
34P 미리보기
寒洲學派 心說의 易철학적 전개(1) - 寒洲 李震相의 「河圖」 해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76호 / 303 ~ 336페이지
    · 저자명 : 안승우

    초록

    본 연구는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의 「하도(河圖)」 해석을 중심으로 그의 역학(易學) 사상과 심(心)에 관한 논의의 전개 양상을 고찰했다. 특히 이진상은 심의 근원을 찾기 위해 옛 성현들의 심법 가운데에서도 「하도」에 나타난 복희의 심법을 탐구했다. 『주역(周易)』의 “역유태극(易有太極)”과 소옹(邵雍, 1011~1077)의 “심이 태극이 된다(心爲太極).”라는 말을 근거로 하여, 이진상은 태극을 살펴보는 데 역학을 떠날 수 없다고 보았고 태극이 심의 본질을 살펴볼 수 있는 주제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진상은 「하도」에 주목했고, 특히 「하도」 한가운데의 5와 10의 자리를 태극으로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하도」에 근거한 이진상의 태극 이해를 통해 그의 심에 관한 사유의 근거에 관한 한 단면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진상의 「하도」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으로는 자연 세계의 변화와 순환 원리에 대한 이해, 그리고 현실 세계 인간사회의 질서와 인간으로서의 예절 등 도덕‧윤리의 본질과 일상적 실천에 관한 발견으로 나아갔다. 이를 통해 이진상의 「하도」 해석이 태극에 대한 이해에서 인간 세상의 질서와 윤리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는 한 단면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기존에 전격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 이진상의 역학 이론을 한국 역학사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Hanju(寒洲) Yi Jinsang(李震相, 1818~1886) philosophy of yixue(易學) and his discourse on the heart-mind(xin, 心), focusing on his interpretation of the Hetu(河圖). In particular, Lee Jinsang sought to trace the origins of the heart-mind by exploring the method of the heart-mind(xinfa, 心法) of the ancient sage Fuxi(伏羲) as it is revealed in the Hetu. Based on the statement in the Zhouyi(周易), “The yi(易) has the taiji(太極),” and Shao Yong’s(邵雍, 1011–1077) assertion, “The heart-mind becomes the taiji(心爲太極),” Yi Jinsang argued that the study of taiji is inseparable from yixue, and that taiji could serve as a theme for exploring the essence of the heart-mind. With this critical perspective, he focused on the Hetu, particularly interpreting the central positions of 5 and 10 within the Hetu as taiji. This paper examines an aspect of Yi Jinsang’s thought on the heart-mind by analyzing his understanding of taiji based on the Hetu. Furthermore, Yi Jinsang’s discourse on the Hetu ultimately extended to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change and cyclicality in the natural world, as well as insights into the order of human society and the essence of moral ethics, including everyday ethical practices.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study highlights how Yi Jinsang’s interpretation of the Hetu evolved from an inquiry into taiji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cial order and ethic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offers an opportunity to examine Yi Jinsang’s yixue theory—an area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with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yix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