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물진원》의 간행과 17~18세기 유교 지식인의 반응—제10편 창조설을 중심으로 (The publication of the Wanwu zhenyuan and the reaction of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08
27P 미리보기
《만물진원》의 간행과 17~18세기 유교 지식인의 반응—제10편 창조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학 / 108권 / 17 ~ 43페이지
    · 저자명 : 최정연

    초록

    이 글은 《만물진원》제10편에 소개된 창조설을 접한 중국과 조선의 유교 지식인의 반응을 비교·점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만물진원》은 중국의 예수회원 알레니(Giulio Aleni, 중국명 艾儒略, 1582~1649)가 저술한 호교서로, ‘만물의 진정한 기원’이 천주임을 입증하고 창조의 과정을 소개한 글이다. 162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알레니의 선교 행보와 창조설의 설파는 중국 토착 지식인의 반감과 저항을 초래했는데, 그 원인은 유교 전통과 문화적 권위에 대한 예수회원들의 공격적이고 배타적인 태도 때문이었다. 특히 유교 문명의 제작자이자 진리의 담지자인 고대의 성왕이나 공자조차 승천하지 못한다는 창조설의 지옥 개념은 허대수나 황정을 필두로 한 유교 지식인들에게 강한 불쾌감과 분노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반면 18세기에 《만물진원》을 열람한 조선의 유교 지식인 남숙관이나 홍정하는 기본적으로 학술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비판했다는 점에서 중국의 지식인과 사뭇 다른 모습을 보였다. 1791년에 발생한 진산사건 이후로 서학의 문제점이 공론화되고 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식계에 들불처럼 번져 나갈 때, 《만물진원》을 열람한 유교 지식인들은 학문적 관점에서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홍정하는 전통적인 음양오행설에 근거하여 사원소설로 창조와 생성을 설명하는 기독교적 창조설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그들의 이러한 태도는 진산사건 전후로 서학을 배타적으로 거부한 다른 반서학 지식인들과 달랐다고 할 수 있으며, 서학을 전면 부정하고 원색적 비난을 재생산한 19세기 지식계의 경직된 분위기와는 거리가 멀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and examines the responses of Chinese and Joseon Confucian intellectuals to the theory of Creation in Wanwu zhenyuan. Wanwu zhenyuan is an exclamation book written by Aleni, a Jesuit in China, that proves that the ‘true origin of all things’ is God and introduces the process of Creation. It has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in China since its publication in Beijing in 1628.
    The doctrines of Wanwu zhenyuan caused animosity among local intellectuals. The reasons were many, but one of the main ones was the aggressive and exclusive attitude of the Jesuit missionaries toward the Confucian tradition and cultural authority. In particular, the notion of the Hell that even the ancient kings, the creators of Confucian civilization and bearers of truth, can not ascend to heaven seems to reinforce the resistance of Confucian intellectuals such as Huangzhen and Xudashou.
    In the 18th century, Joseon intellectuals who viewed Wanwu zhenyuan showed a different aspect from Chinese intellectuals in that they criticized it academically. After the Jinsan Incident in 1791, while the problem of Seohak became publicly debated at the national level and negative perceptions about it were strengthened, Nam Geukgwan and Hong Jeongha approached it carefully and dealt with it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knowledge. Their attitude can be said to be different from other anti-Seohak intellectuals who exclusively rejected Seohak before and after the Jinsan incident,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were far from the rigid atmosphere of the 19th century intellectual circle that completely denied Seohak and reproduced crude cri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