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愚齋 孫仲暾의 金宗直 門人說 考察 -『愚齋先生實記』 편찬과정을 통해서- (A Study on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for Ujae Son Jung-don -Focusing on the Process of Compiling Ujaeseonsaengsilg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5.09
32P 미리보기
愚齋 孫仲暾의 金宗直 門人說 考察 -『愚齋先生實記』 편찬과정을 통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64호 / 167 ~ 198페이지
    · 저자명 : 오상욱

    초록

    본고는 愚齋 孫仲暾(1463~1529)의 『愚齋先生實記』와 『愚齋集』에 대한 편찬과정에서 사승관계로 보이는 佔畢齋 金宗直과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먼저 『愚齋先生實記』에서 그 흔적을 찾고, 그것을 다시 『佔畢齋集』과 비교를 하면서 손중돈과 김종직의 관계를 짚어보았다. 또 실록에 의거한 1790년 2월 30일. 경상도 儒生 이술현 등 223명이 올린 상소문을 중심으로 볼때, 당시 경상도 유생들간에 이미 손중돈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알려진 상태로 보인다. 하지만 『愚齋先生實記』의 「實記增補跋文」을 중심으로 보면, 김종직에 대해 언급이 전혀 없고, 다만 손중돈과 회재 이언적의 사승관계를 밝히고 알리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實記增補跋文」 가운데 1905년 李炳鎬의 발문과 1935년 孫厚翼의 「文集識文」에서는 그 동안 「愚齋先生實記」에서 다루지 않았던 김종직과 그의 제자 김굉필, 정여창을 언급하면서 손중돈과의 연결을 시도한 흔적이 보인다. 이것은 아마도 후손된 입장에서 서원 건립과 문집의 발간을 통해 선조를 선양하는 일환으로, 『實記』의 편찬과정에서 생긴 사회적 오류로 인식이 된다. 이것은 일방적인 『愚齋集』만의 주장인 것이다.
    그리고 『愚齋先生實記』 年譜에서 손중돈은 22세에 김종직의 문인으로 있었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18세기경 후손의 입장에서 기술된 자료에 불과하며 김종직과 사승관계를 나타내는 어떤 자료도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부친인 손소와의 관계만 드러나 있을 뿐이다. 즉 손중돈을 부친 손소와 김종직의 동문수학 경우를 갖고, 후학들의 지나친 加添으로 자연스레 김종직과 연결 지었다. 그 외적이유로 초기 사림파의 거두 김종직과 손소(부친)의 관계를 이용해서 자신들의 입지를 굳히고, 내적이유로 외손인 이언적과의 사승관계를 더욱 확고히 하는 명분을 세우고자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compiling Ujaeseonsaengsilgi and Ujaejip written by Ujae Son Jung-don (1463~1529) to define his relationship with Jeompiljae Kim Jong-jik. An attempt was made to find its traces in Ujaeseonsaengsilgi and to compare it with Jeompiljaejip so 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Jung-don and Kim Jong-jik.
    On the basis of the memorial to the Throne written by 222 persons, including Lee Sul-hyeon, a Confucian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on February 30, 1790, in addition to Ujaeseonsaengsilgi, it seems that Son Jung-don was already known as a writer along with Kim Jong-jik among Confucian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t the time of 1790. However, Silgijeungbobalmun in Ujaeseonsaengsilgi never addresses Kim Jong-jik but focuses on defining and informing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between Son Jung-don and Hoijae Lee Eon-jeok.
    Lee Byeong-ho's postscript to a part of Silgijeungbobalmun in 1905 and Son Hu-ik's Munjipsigmun in 1935 addressed Kim Jong-jik and his disciples, Kim Gwoing-pil and Jeong Yeo-chang, any of whom hadn't been addressed in Ujaeseonsaengsilgi, and tried to connect them with Son Jung-don. This is probably a social error committed during the process of compiling Silgi as part of the effort to enhance their ancestor's prestige by building a memorial hall and publishing a collection of works from the descendents' viewpoint. So this is one-sided insistence by Ujaejip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rresponding materials among collections of works written by Kim Jong-jik, Jeong Yeo-chang, and Kim Gwoing-pil, making it hard to define their relationship. While the chronological record in Ujaeseonsaengsilgi reveals that he was under Kim Jong-jik's instruction at the age of 22, this was simply written from the descendent's viewpoint in the 18th century, with no materials found to define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with Son Jung-don. Only th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Son So, can be found. It seems, therefore, that Son Jung-don had a chance to study with his father, Son So, and Kim Jong-jik and was naturally connected with Kim Jong-jik via his father by future scholars' excessive revisions. This is probably because he intended to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Sarimpa, Kim Jong-jik, and his father to consolidate his position externally and to justify himself in consolidating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with his grandchild, Lee Eon-jeok, intern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