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說一切有部에 있어서 現觀道의 전개- 현관의 개념이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th of Abhisamaya (Clear Understanding) in Sarvāstivāda- Focusing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bhisamaya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0.09
24P 미리보기
說一切有部에 있어서 現觀道의 전개- 현관의 개념이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3호 / 175 ~ 198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초록

    본고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Sarvāstivāda, 이하 유부)의 수행도인 현관(現觀, abhisamaya)의 배경과 의미를 유부문헌에서 관련된 중요한 기술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초기불교에서 현관은 제법(현상)에 대한 인과관계의 법칙의 이해를 통하여 고(苦)의 생기와 소멸을 이해하고 3결(結)의 단절과 함께 최초의 성자의 단계인 예류향(預流向)의 단계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사성제(四聖諦)를 관찰하는 현관은 유부의 핵심적인 수행도가 되는데, 유부는 사성제를 붓다가 발견하고 가르친 사성제(dharma)와 성자가 해탈인식에서 경험하는 사성제(dharmas)라는 두 가지 시선으로 바라본다. 초기문헌인 『집이문족론(集異門足論)』․『법온족론(法蘊足論)』에서는 진리와 교법인 사성제법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품류족론(品類足論)』 이후부터 유부의 독창적인 해석이 등장한다. 즉, 유부에서 제현관(諦現觀, satyābhisamaya)은 법의 변별(dharmapravicaya)에 의한 제법의 성격규정과 번뇌의 소멸이라는 수도론(修道論)의 토대가 되는데, 모두 혜(慧, prajñā)에 의한 제법의 관찰에 의거한다. 현관은 사성제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말하며 성자(聖者, āryapudgala)의 무루혜(無漏慧)로 고를 ‘무상․고․공․무아’로 파악하는 것이 기본전제가 된다. 이상 현관을 유부문헌을 통해 검토함으로써 다양한 맥락에서 현관의 대상인 제법을 보는 유부의 관점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efly explain the Path of Abhisamaya in Sarvāstivāda and explore the conceptual meanings of abhisamaya. First, Dharmacakrapravartanasūtra provides clues to understand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destruction of fluxes,’ the standard form of Āgamas and the Nikāyas. That is, the discovery of and insights into the ‘four noble truths’ made five monks understand the intrinsic nature of things. Since the ‘five skandhas’ are impermanence and unsatisfactoriness, which are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existence, recognizing the groups as samyakdṛṣṭi that they are ‘self’ or ‘non-self’ leads to the destruction of fluxes and the complete nirvāṇa of arhat. Here, the keywords ‘four noble truths’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anātman of five skandhas’ play critical roles in Sarvāstivādins' practice, such as abhisamaya.
    “Saṅgītiparyāya,’ the earliest text of Sarvāstivāda Abhidharma, explains that the ‘four noble truths’ are satya, and the recognition that ‘saṃskārā is anitya, sāsravā saṃskārā is duḥkha, and sarve dharmā is śūnya and anātman’ leads to the acquisition of laukikāgra-dharma and anāsrava, which corresponds with dharmajñānakṣānti. Such characteristics of sarve dharmā are suggested by the four ākāras of duḥkhasatya among the sixteen ākāras of the noble truths in later Saṅgītiparyāya. Moreover, fragmentary concepts were presented in more details than in “Dharmaskandha.” Meanwhile, Dharmaskandha’ presents four noble truths enlightened by Buddha as a model of practice, and it also briefly explains darśanaheyakleśaparihāṇa and bhāvanāheyakleśaprahāṇa which are eliminated by recognizing the ‘four noble truths.’ Unlike “Saṅgītiparyāya” and “Dharmaskandha” that explain abhisamaya from the practical aspect of law, “Prakaraṇapāda” adopts ‘five categories’ rather than the ‘five skandhas’ to describe the concept and correlation of sarve dharmā in detail. Abhisamaya is the function of prajñā with a nature of dharmapravicaya, which is classified as one of caitasika that corresponds with mind. Prajñā is interpreted as dharmapravicaya or vipaśyanā here, suggesting that dharmapravicaya, a unique interpretation of Sarvāstivādin unlike the path of Āgamas and Nikāyas, would soon combine with the theory of practice. Such characteristics become more apparent in the stage of Mahāvibhāṣa, meaning that the “Analysis by the formation of character of sarve dharmā and the theory of practice which leads to the extinguishment of suffer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