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水陸齋會의 設辦과 設行의 主體性 - 용주사 수륙재를 중심으로- (The subjectivity of the setup of the Suryukjaehoe and its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Suryukjae at Yongjusa Temple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4.06
43P 미리보기
水陸齋會의 設辦과 設行의 主體性 - 용주사 수륙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36호 / 227 ~ 269페이지
    · 저자명 : 이성운

    초록

    수륙재의 設辦과 設行의 樣態 및 意味와 行爲 속에서 수원 용주사 수륙재의 위상을 찾아보았다. 1790년 10월 1일 용주사에서 행해진 無遮會는 無遮로 법계 성인과 범부를 청해서 施食함으로써 先王의 冥福을 닦아주고, 齋者의 壽福 增長을 위한 목적으로 행해진 수륙재이며, 그 疏文의 ‘謹命’은 재자와 병법 아사리의 위치를 밝혀주는데, 재자는 병법 아사리에게 재회를 열라고 명령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용주사 수륙재는 內行 또는 國行의 수륙재임을 의미한다.
    용주사 수륙재가 조선 후기 국왕에 의해 행해진 수륙재이므로 정체성에 부합하는 12단 혹은 17단을 설치하고, 宗室位를 중위에 모셔야 하며, 혼령을 목욕하는 浴所도 구분되어야 한다. 수륙재 儀文의 臺詞에는 첫째 붓다가 齋者에게 告하는 것, 둘째, 齋者가 神佛에게 소원을 아뢰는 것, 셋째 法師가 의례를 진행하며 설명하는 것으로 이뤄졌는데, 그 속에는 수륙재가 國行的인 위상임을 알려준다. 정조가 부친의 재궁으로 창건하고 佛像 점안식 날에 행한 용주사 수륙재는 여느 사찰의 그것과 또 다른 분명한 역사와 명분을 가지고 있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considers the status of the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t Yongjusa Temple in Suwon, focusing on the meanings and actions involved in the aspects of its setup and performance. Muchahoe (無遮會; Buddhist ceremony without restriction) held at Yongjusa Temple on October 1, 1790, was a Suryukjae conducted to rest in peace of the late king and to pray for longevity and good fortune. This ritual invited both the enlightened beings of the Dharma realm and ordinary beings to partake in the food offering (施食). The polite request in the text to disclose the deceased’s guilt clarifies the positions of the ritual protagonist and the monks guiding the young monastic. It indicates that the ritual protagonist had the authority to command the monks to conduct the ritual, signifying that Suryukjae at Yongjusa Temple was an internal or national ritual.
    Suryukjae at Yongjusa Temple, established by a k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uld have a structure of either 12 or 17 tiers by its identity. The memorial tablets for royal family members should be placed in the middle, and a separate bathing area for purifying the spirits should also be designated. The lines of Its ritual oration consist of three parts: first, Buddha informs the ritual protagonist; second, the ritual protagonist makes wishes to deities and Buddhas; third, a dharma teacher conducts the ritual and provides explanations. This shows that Suryukjae has the status of the national ritual. Established as a memorial temple for his father by King Jeongjo and conducted on the day of the ceremony of dotting the eyes on Buddha’s statue, Suryukjae at Yongjusa Temple has a distinct history and legitimac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te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