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僧朗의 三論學과 師弟說에 대한 誤解와 眞實(Ⅱ) (Misunderstanding and Truth about -lun-study of Seng-lang with the relations between Master and Disciple (Ⅱ))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08.02
42P 미리보기
僧朗의 三論學과 師弟說에 대한 誤解와 眞實(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0호 / 201 ~ 242페이지
    · 저자명 : 朴商洙

    초록

    길장의 저서 『大乘玄論』, 『中觀論疏』, 『二諦義』 및 『고승전』 등의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 출신의 僧郞大師는 북지에서 구마라집계통의 교의를 습득하고, 5세 전후의 宋나라 말기나 齊나라 시초에 남지로 와서 관료였던 은사 주옹을 가르쳤으며, 당시 남지에서 성행하던 成實論師들을 격파하고 삼론학을 부흥시켰으며, 梁나라 武帝도 그 명성을 듣고 『성실론』을 버리고 대승의 주석서를 지었다고 한다. 이로 인하여 승랑은 삼론종의 실질적인 始祖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국외 학자들 가운데 일본의 境野黃洋, 平井俊榮과 중국의 湯用彤 등에 의하여, 승랑의 학업과 업적이 과장되거나 근거가 없다고 의심받고 부정되거나, 스승으로서의 승랑이 오히려 은사 주옹의 제자가 아니었나 예단하는 발언까지 등장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필자는 2000년 12에 논문을 발표하여, 그 동안 국내외에서 전개된 논의 사항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고, 그로부터 4년 뒤에 이 문제에 대한 답변을 모색하여 일단 그 요점을 간략하게 발표하였다. 이렇게 하여 일부 국외 학자들의 왜곡된 승랑의 師弟說이 알려지자, 그들의 부정적 주장을 거부하고 새롭게 승랑의 생애와 행적을 고찰한 다른 연구자들의 논문이 그 이후부터 발표되어, 승랑의 생애와 행적에 대한 새로운 연구 성과가 더 보태지고 있다.
    다소 지체되었으나, 지난번에 요약 발표한 그 논문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이제 다시 제출하는 바이다.
    길장의 전언을 입증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사용하는 길장의 저서와 『고승전』 이외의 문헌을 더 찾아보던 중, 길장과 동시대의 삼론학자 慧均이 저술한 『大乘四論玄義』와 길장의 『法華論疏』, 일본 智光의 『略述』과 安澄의 『中觀論疏記』에 인용된 『述義』의 기록 및 13세기 초기 이후에 작성된 『三論祖師傳集』, 그 이외 현대의 연구자료 등에 의거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들 여러 문헌에서 길장의 기록 대부분이 그대로 인정되고 있었다. 더 나아가 『대승사론현의』에서는 승랑의 스승이 구마라집 문하 八宿(八俊)의 제자였으며, 『삼론조사전집』에서는 승랑의 스승이 돈황의 曇濟法師라고 기록한 것을 보게 되었다.
    이상의 여러 문헌의 기록에 근거하여 보면, 승랑의 북지 수학과 주옹을 가르쳐 『삼종론』을 저술하게 하였다는 길장의 기록들이 모두 꾸밈없는 사실이었음이 입증되는 것이다. 아울러 70여년 이전부터 길장의 기록을 의심하고 부정한 境野黃洋과 그 뒤를 이은 湯用彤과 平井俊榮의 견해는, 길장은 물론 혜균과 지광, 기타의 기록에 위배되는 근거 없는 주장이라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오래 전부터 거론되다 근대에 와서 폐기되다시피 한 승랑의 스승이 曇濟法師라는 설을, 그것도 종래의 학계에서 인식하던 僧導의 제자 담제가 아니라 道生의 제자로서 돈황의 담제라는, 同名異人의 담제법사라는 것을, 필자 나름대로의 근거에 입각하여 제시하였다.
    그 도생의 제자 담제법사라는 전기의 내용은 일본에서 저술된 『略述』에 근거하여 설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 의하면, 그 『약술』의 기록은 그 이전의 문헌을 계승한 것인지, 아니면 저자 지광이 창설한 것인지, 입증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진위 여부와 관계없이, 이로부터 중국 삼론학의 실질적 시조로 추앙되는 고구려 승랑이라는 존재가, 일본의 삼론학에서도 역시 중요한 존재로 작용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영어초록

    According.to Ta-sheng-hsuan-lun(大乘玄論), Chung-Kuan-lun-shu(中觀論疏), Erh-ti-yi(二諦義) written by Chi-tsang(吉藏), and Kao-seng-chuan(高僧傳), the master of the Sanlun School, Seung-lang(僧朗) have learned Kumārajīva's old theories at the Northen region, or Kuanho(關河, 關內), thereafter Seung-lang have migrated to Southern land, and encountered the hermit Chou-yung(周顒), as the result of Seung-lang's influence, Chou-yung have wrote San-tsung-lun(三宗論).
    But these days such scholars as Sakaino Gōyō(境野黃洋), T'ang Yung-t'ung(湯用彤), Hirai Shunei(平井俊榮) made doubts of truth of Chi-tsang's such affirmations. Not only they searched for Chou-yung's study from Chih-lin(智琳) Hui-Ch'i(慧基) and such like instead of Seung-lang, but also Hirai Shunei made an paradoxical expectation that Seung-lang may have been influenced by Chou-yung.
    Therefore I enumerated the doubtful scholars' opinions in the first part of my paper presented at last 2000 year, and this time in this succeeding paper announce the answer or counterargument against their doubtful views.
    In this paper I examine into the issues of Seung-lang based upon.more.additional literatures such as Ta-sheng-silun-hsuan-yi(大乘四論玄義) written by Hui-yun(慧均) the contemporary Sanlun scholar of Chi-tsang, Sanlun soshi denshū(三論祖師傳集) recorded at Japan, Ryakuchuj(略述) of Chiko(智光), Chūron shoki(中論疏記) of Ancho(安澄) and modern scholar's several kinds investigations.
    All of them give evidence that Chi-tsang's affirmations must be truthful in traditional fact.
    Further more Ta-sheng-silun-hsuan-yi says Seung-lang have studied at disciple of Bā-xiu(八宿) evaluated eight outstanding talent among the Kumārajīva's three thousands disciples.
    Besides, Ryakuchuj(略述) written by Chiko(智光) describes Seung-lang's teacher is T'an-chi(曇濟) who have dwelled in Tun-huang(燉煌). But at the biography of T'an-chi collected in Sanlun soshi denshū, where describes two T'an-chi, one as a pupil of Tao-shēng(道生) who is included one of Bā-xiu(八宿), the other as a pupil of Seng-tao(僧導) who is estimated as a scholar of Ch'eng-shih lun(成實論). Although now Buddhist academic circles regards the latter as Seung-lang's teacher, at the end of some examinayion, as the real teacher of Seung-lang it seems to me it be right T'an-chi who is the pupil of Tao-shēng rather than the pupil of Seng-tao.
    But based upon the opinion of Japanese scholar Itō(伊藤隆壽), with regarding the record of Ryakuchuj(略述) about T'an-chi, it could not be determined weather it be true or not only except it's coming into existence at Japan. Even if it's truth or not,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Seung-lang have played important role not only in Chinese Sanlun School but also in Japanese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