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의 불교 교단과 ‘종파’ - 신라 중대 종파 성립설에 대한 고찰 - (The Religious order and ‘Sects’ of Silla Buddhism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Theory of Sects in the Middle of Silla Dynasty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7.03
32P 미리보기
신라의 불교 교단과 ‘종파’ - 신라 중대 종파 성립설에 대한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25호 / 165 ~ 196페이지
    · 저자명 : 박광연

    초록

    본고는 한국의 종파 성립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蔡尙植의 견해들을 검토한 글이다.
    金映遂가 제창한 五敎九山說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許興植이 신라말․고려초 종파 성립설을 주장한 이후, 채상식은 신라 중대 종파 성립설을 내세웠다. 그는 신라통일기를 중세의 기점이라 하고, 그 지표로서 불교 교단의 형성, 교학 연구의 심화, 일반 민으로의 불교대중화를 내세웠다. 그는 교단의 형성과 더불어 종파가 성립하였다고 하면서, 종파를 ‘특정 사상이 별도로 교학․의식(의례)․신앙 면에서 체계를 갖추고 소속 사원을 통해 그의 사상을 전 계층과 공유하게 된 집단’이라고 정의하였다.
    하지만 신라의 불교 교단 내에 의식(의례) 면에서 독자적인 체계를 갖춘 집단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교단의 통제권에서 조금은 자유로웠던 초기의 義相系에서 채상식의 정의에 부합되는 ‘종파’의 요소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의상계의 모습은 7세기 후반~8세기 초반 신라 불교계 전체 상황에서 예외적이라 할 수 있고, 8세기 중반 경에는 의상계도 왕경으로 진출하여 중앙 교단에 동화되어갔기 때문에, 초기의 모습을 얼마나 유지할 수 있었을지 미지수다. 결론적으로, 채상식이 정의한 요소를 갖춘‘종파’는 신라 중대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review of Chae Sang-sik (蔡尙植)'s viewpoints as a part of analyzing the advance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Buddhist sects. At the first, Chae Sang-sik’s criticism was raised against Heo Heung-sik (許興植) insisted o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o period establishment theory of Korean Buddhist sects. Chae Sang-sik claimed the Unified Silla perio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middle period in Korea, and as an indicator of that theory, he suggested the formation of Buddhist order, the deepening of the scholarship of Buddhism and the generalization to the general public. He claimed that the Buddhist sects were established with the formation of the Buddhist order. He defined the sects as “group in which certain ideas have a system of teaching, ritual, and faith separately and shared his ideas with the whole class through temples”.
    However, groups with this independent system in the Buddhist order of Silla did not appear at any time. Rather, the early Uisang lineage, which was somewhat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Buddhist order, had the requirements of a “sect” that conformed to the definition of Chae Sang-sik. But the appearance of the early Uisang lineage was exceptional in the whole situation of the Silla Buddhist system in the late 7th to early 8th century, and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it went into the capital city, Gyeongju and assimilated to the central Buddhist order. It is quite questionable that the early appearance of Uisang lineage was kept in that period. In conclusion, I think the ‘sects’ that Chae Sang-sik claimed did not exist during middle period of Silla King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