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무 이제마의 四象說과 캔 윌버의 四象限 一考 (Connection of Dongmu Lee Je-ma's Sa-Sang Theory & Ken Wilber's all-quadrant approach)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0.11
25P 미리보기
동무 이제마의 四象說과 캔 윌버의 四象限 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16권 / 411 ~ 435페이지
    · 저자명 : 허훈

    초록

    윌버(Ken Wilber, 1949~)는 역사적으로 볼 때 학문적 교류가 활발한 현대가 그 어느 때보다도 세계철학이 가능한 시대임을 강조하며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다. 그는 통합적 모델로 향하는 첫 걸음으로 ‘온 상한’ 즉 ‘四象限’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그의 사상한은 AQAL(All Quadrant, All Level ; 모든 수준, 모든 레벨)로 구체화 되었다. 모든 문제를 뚜렷하게 四分位(내부/외부, 단수/복수 혹은 주관/객관, 간주관성/간객관성)로 나누어 보는 사상한의 접근법은 그 응용분야가 확대되어 생태학, 경영, 범죄학, 의료 등등의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의 사상한이 갖는 장점은 주관적인 내면[문화적 요소]을 외재적인 실재인 물질[사회 제도]로 환원시켜 버리는 平原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고 모든 문제를 포괄적인 관점에서 대안을 모색한다는 데 있다.
    시기적으로 앞서는 동무 이제마(1837~1900)의 四象說(事心身物, 天人性命)은 사분위라는 큰 틀로 보면, 내용면에서 윌버의 사상한과 的確하게 일치한다. ‘四象學’ 혹은 ‘四象醫學’이라고 불리듯이 동무의 저작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나는 四象(事心身物)은 우주만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들이다. 天人性命은 사심신물이라는 우주의 사원구조를 人間(人體)을 중심으로 파악한 결과다. 다시 말해 사상설은 우주와 인간을 윌버식의 포괄적인 관점으로 바라본 것이다.
    이미 동무의 사상설은 칼 융(C. G. Jung, 1875~1961)의 심리학과 대비되어 兩者間의 이론적 기반을 확인하고 그 적용 범위를 넓혀나가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동무의 사상설과 윌버의 사상한의 對比 역시 단순한 類比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비교하자면, 동무의 사상설은 윌버의 그것에 비해 醫學的 側面에서는 보다 정교하게 심화되고 구체화된 사상한의 모습을 보여준다. 단지 질병을 바라보는데 그치지 않고 生理・病理 현상의 원인과 그것이 도출되는 과정을 사상한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영어초록

    Ken Wilber(1949∼) tries to approach integration of philosophy, emphasising the advent of the perennial philosophy in the exchange of scholarships at the present day. He suggests All Quadrant(四象限) for the first step to reach his integrated approach. In addition, his approach concretizes for AQAL(All Quadrant, All Level). His AQAL approach which can be divide into inside/outside, singular/plural, or interobjectivity/intersubjectivity is applied to a lot of fileds such as ecology, management, criminology, medical treatment and its boundary is getting bigger. The merits of Quadrant is that it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plain(平原), which resolves the strength of subjective interior(cultural contexts) into the external existence(social system).
    From view of Dongmu Lee Je-ma(1837∼1900), a former philosopher, Sa-Sang theory[‘Affairs-Mind-body-Objects(事心身物)’, ‘Heaven-Human-nature-Order(天人性命)] is in accord with Wilber in content. In Dongmu’s writing, Quadrant(Affairs-Mind-body-Objects’) called Sa-Sang theory(四象學) or Sasang Constitional Medicine(四象醫學) is basic component in order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ll nature. ‘Heaven-Human-nature-Order’; That is, ‘Affairs-Mind-body-Objects’ results in ‘Heaven-Human-nature-Order’ focused on human being(human body) in the universe. In other words, Sa-Sang theory is the same as the Wilver’s inclusive perspectives from the universe and human being.
    Dongmu’s Sa-Sang theory is compared with C. G. Jung(1875∼1961)’s psychology and it helps both fields confirm the foundation and extend the province of application. Comparision of Dongmu’s Quadrant with Wilber’s is not just analogical reasoning. In comparison, Dongmu’s Sa-Sang theory is more delicated and crystallized than Wilber’s in medical prospective. Dongmu regards Quadrant not as diseases, but as origin of Physiology and Pathology. And he explains all of their courses as Quadr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