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춘추설(春秋說)」 연구 (A Study on Misu Heo Mok’s 「Chunchuseo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04
20P 미리보기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춘추설(春秋說)」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83호 / 225 ~ 244페이지
    · 저자명 : 석승징

    초록

    본 연구는 허목이 「춘추설」을 지으면서 참조한 자료들을 찾아서 정리하고, 그가 말하는 춘추대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허목은 그 자신이 50년 이상 읽어 온 옛글들을 축약하여 「경설」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그 글을 숙종에게바친다. 여기에는 젊은 왕으로 하여금, 옛글에 들어있는 성인들의 가르침을 본받아 훌륭한 정치를 펼쳐 줄 것을 기대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경설」 중의 한 편인 「춘추설」에는 『춘추』에 대한 그의 생각이 오롯이 담겨 있다. 먼저 그는 공자가 옛 성인들의 가르침을 『춘추』를 통하여 후세에 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그리고 『춘추』는 인의를 닦고 인도를 밝히는 큰 도리라고 설명한다. 또, 왕도가 사라지고, ‘시’가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시대에, 『춘추』가 있음으로써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어서, 춘추대의를 존군 의식, 인의의 가치관, 조선의 특수성을 반영한대일통 사상 등의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춘추』의 가르침에 따라, 인의를 닦아 인도를 세우고, 천도를 이루며, 지도를 평안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허목이 「춘추설」을 지으면서 참조했던 다양한 옛글들을 찾아 그 맥락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가 어떤상황 인식을 가지고 시대적 상황에 대응했는지에 대한 일단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참조했던 옛글과 미세하게 달라지는 표현들을 통하여, 그가 춘추시대의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대일통 사상으로부터 조선의 개별성을반영한 대일통 사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세기 조선이 안고 있던 과제는, 혹심했던 전란, 끊임없이 이어지는 정치적 혼란 그리고 빈번한 자연재해등으로 인해 피폐해진 민생을 극복하는 일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것은, 이와 같은 시대적·공간적과제에 대한 당대의 책임 있는 지식인 허목의 대응이다. 그것은 왕권 강화를 통하여, 인과 의를 바탕으로 하는안정적인 정치체제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혼란한 시대상을 해결하려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find and organize the materials that Heo Mok referred to while writing 「Chunchuseol(春秋說, A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to examine what i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大義)’ he says.
    Heo Mok wrote 「Gyeongseol(經說, A Commentary on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by abbreviating old writings he had read for more than 50 years. And he presented it to King Sukjong(肅宗). The meaning of his present of that book contained the expectation that the young king will emulate the teachings of the saints in the old writings and carry out great politics.
    In 「Chunchuseol」, one of the 「Gyeongseol」, his thoughts on 『Chunchu(春秋)』 are completely contained. First, he mentions the fact that Confucius conveys the teachings of the old saints to posterity through 『Chunchu』. And, he explains 『Chunchu』 is a sacred discourse to cultivate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expose the principles of humanity. He is also says that in an era when the principles of royal politics(王道) disappears and ‘the poetry’ could not play a role, 『Chunchu』 can be played the role of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Continually, he propose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 in three categorie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King(尊君意識), the value of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and the idea of Great unification(大一統)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Then,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Chunchu』, he argues that the people should cultivate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formulate the principles of humanity, implement the principles of heaven and stabilize the principles of the earth.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 various old writings and checking the context that Heo Mok referred to while writing 「Chunchuseol」, I was able to find a glimpse of what kind of situational awareness he had and what kind of responses to the situation at that time he did. In particular, through the expressions that differ slightly from those of the old writings he referred, I was able to confirm that h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the Chinese-centered Great unification idea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 the Great unification ideas of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The challenge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was to overcome the impoverished people’s livelihood due to severe war, constant political turmoil, and frequent natural disasters. Wha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s the countermeasures of Heo Mok, a responsible intellectual of that period who has to overcome such temporal and spatial challenges. It was the effort to establish a stable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and ultimately solve the chaotic times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