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명윤리학자 정제두의 '生理' 개념의 새로운 해석 -베르그손의 생의 약동(élan vital) 과 정제두의 生理 개념의 비교- (Bioethicist, Jeong, je-du's new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the theory of the living Li(生理說)’)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0.06
22P 미리보기
생명윤리학자 정제두의 '生理' 개념의 새로운 해석 -베르그손의 생의 약동(élan vital) 과 정제두의 生理 개념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35호 / 169 ~ 190페이지
    · 저자명 : 양선진

    초록

    유학은 공맹 사상을 주희가 단순한 삶의 철학 내지 윤리학을 형이상학적 원리로 승화시키려는 노력을 한 철학이다. 주희의 철학적 중심 개념인 리와 기의 개념은 인간과 사물을 포함한 모든 존재들을 형이상학자와 형이하자라는 두 가지 논리적 개념으로 구분하고 사물, 생명체, 그리고 인간에게까지 적용할 수 있는 원리라고 보았다. 우주의 운행 법칙과 도덕의 운행 법칙을 하나의 원리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인간의 마음 안에 존재하는 도덕 원리는 우주의 운행 원리와 동일하게 간주한 것이 바로 주희의 리 개념이 지닌 문제점이다. 주희의 격물설은 인간을 움직이는 원리가 인간 밖에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인간 안에서 작동하는 도덕적 원리가 인간이 아닌 사물의 원리처럼 취급되면서 인간을 규율하는 도덕 원리가 살아있는 인간의 윤리가 아니라 사물의 원리가 인간의 원리처럼 작용한다는 크나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정제두는 주희 철학의 우주의 원리와 도덕의 원리를 하나의 단순한 원리로 파악하는 리 개념을 거부하고 왕양명의 사상을 통해서 새로운 리의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왕양명이 언급하는 이치 또는 원리란 인간 외부에 존재하면서 인간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수단이 아니라 인간 내부에 존재하면서 인간이 도덕적 상황 속에서 발현되는 살아있는 도덕적 원리이며 인간이 도덕적 상황에 부딪힐 때 나타나는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원리이지만 절대로 경직되고 고정된 원리가 아니다. 정제두는 인간의 적용되는 원리는 사물에 해당하는 원리와 구별하면서 생명의 生理라고 명명하였다. 이치와 원리에는 사물의 원리와 생명의 원리라는 전혀 다른 원리가 있다는 것이다. 생명의 원리 중에서 도덕적 원리에 해당하는 것을 특별히 眞理라고 언급하였고 생명의 원리에만 머무른다면 욕망에 얽매이는 禽獸의 상태와 같다는 입장이다.
    정제두의 철학은 생명의 원리를 고려한 베르그손의 철학처럼 생명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인간의 양지를 통해서 도덕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철학이다. 정제두는 생철학과 도덕철학을 동시에 고려한 도덕생철학자 또는 생명윤리학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두는 최초의 한국의 도덕생철학자이다. 서양의 생철학이 도덕성을 포함한 생철학을 구성하지 못했다면, 한국의 생철학자인 정제두는 생철학에 도덕성을 포함한 도덕생철학자라는 점에서 정제두의 철학적 우수성을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17, 18 century, Jeongjedu(1649-1736) is considered among Joseon scholars as Wang,Yang-ming philosopher. He criticized the problem of the thought of Li(理) of Jujahak and accepted the Yang-ming's philosophy. He had the occasion to study Jujahak and Yang-ming's thinking together. His open mind overcomes the philosophical system of Jujahak. the life is applied to the principle of the things, because if we apply the principle of the things to the life, the life is the dead things.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Hagok Jeong, Je-du’s living principle(生理). For Jeong, Je-du, human nature is at the same time vital being which has the movement and Yangjee moral heart(良知) which make people aware to the moral action. Under this premis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of human nature as follows. First, Jeong, Je-du described human nature as the vital be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hings and considered human esence as our moral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