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경성(京城)의 음력설과 양력설 -북촌과 남촌을 중심으로- (The Lunar New Year’s Day and the Solar New Year’s Day of Seoul(Keijyo)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Focused on ‘Bukchon’ and ‘Namchon’-)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9.04
55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경성(京城)의 음력설과 양력설 -북촌과 남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8호 / 185 ~ 239페이지
    · 저자명 : 안주영

    초록

    한 해의 시작인 설날은 세시풍속의 시작점으로 한국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세시풍속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설날이 지금처럼 양력설과 음력설로 나뉘어 양쪽 모두 공휴일로 인정되고, 음력설이 부정적인 의미의 ‘구정(舊正)’이 아닌 공식적인 의미의 ‘설날’로 달력에 표기되기까지 많은 혼란과 갈등이 있었다.
    ‘이중과세(二重過歲)’라는 비난을 받으면서도 일제강점기에 경성의 조선인들은 음력설을 지내왔다. “음력설은 조선인의 설, 양력설은 일본인의 설”이라는 말이 공공연히 들릴 정도로 일제강점기 경성에서는 ‘북촌’과 ‘남촌’이라는 분리된 두 장소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이 각기 다른 설 명절을 쇠는 이분화된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에 경성 시민들이 양력설과 음력설을 실제로 어떻게 지냈는지, 양력설과 음력설을 지내는 대중을 향한 언론의 입장과 논조는 어떠했는지에 대하여 당시의 신문과 잡지의 기사 분석, 서울 토박이들의 현지조사 면담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신문과 잡지의 기사들은 식민지라는 상황하에서 대외적으로는 양력설을 긍정하고 음력설을 부정하는 입장을 취해야 했으나 간접적으로는 북촌의 활기찬 음력설 풍경을 묘사하면서 음력설의 의미와 그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었다. 또한 조선총독부에서 양력설을 강조하고 이중과세(二重過歲)를 비난함에도 불구하고 조선인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음력설만이 우리의 설”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도 당시의 여러 신문 기사들의 내용, 서울 토박이들과의 면담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 내내 지속되었던 이중과세(二重過歲)의 폐해에 대한 지적과 양력과세를 해야 한다는 당위론적인 논설류의 기사들은 양력과세를 서구의 근대화와 연결짓고자 하였다. 서구의 근대화는 일본이 앞서 도입한 것으로, 우리도 이에 따라야 한다는 식의 논리에는 ‘식민지적 근대성’이 전제되어 있었으며, 이는 ‘양력’이라는 근대 달력의 도입과 함께 일상생활의 변화를 촉구하는 것이었다. 음력설과 양력설을 두고 나타난 이러한 대립은 일제강점기의 경성에서 조선인의 공간인 ‘북촌’과 일본인의 공간인 ‘남촌’이라는 구분된 두 장소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이분화와 ‘구별짓기’는 음력설과 양력설이라는 대조적 의미를 지닌 세시풍속과 맞물려 상당히 대조적인 풍경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어초록

    The Korean New Year’s Day is the beginning point of the year and also for the seasonal custom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asonal customs of our country. However, due to the situation that the Lunar New Year’s Day originally had been considered as an unofficial holiday, Koreans underwent many confusions and conflicts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both the Lunar New Year’s Day and the Solar New Year’s Day were recognized as the national holidays.
    Despite the condemnation for celebrating both the solar New Year and the lunar New Year, many citizens of Seoul(Keijyo) celebrated the Lunar New Year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re was the atmosphere of two differentiated cultures existing in two different regions – ‘Bukchon’ and ‘Namchon’ : the Lunar New Year's Day is called Koreans’ New Year’s Day, and the Solar New Year's Day called the Japanese’ New Year’s Day.
    This study presents how the Seoul(Keijyo) citizens actually celebrated the two differentiated New Year holidays,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from the newspaper and magazine to seek the overall stance of the press in specific tone of the news to speak of the two differentiated New Year holidays, and also the documents of interview from the spot survey that was done to native Seoul citizens.
    Under the situation that it was during the certa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press had to affirm only the Solar New Year’s Day and denied the Lunar New Year’s Day. However, many articles from the newspaper and the magazine often mentioned the importance and the meaning of Lunar New Year’s Day as they indirectly depicted the Lunar New Year’s Day’s lively scenery in Bukchon. Moreover, it was also ascertainable through interviews with the native Seoul citizens and many articles that there was a great awareness that only the Lunar New Year’s Day could be recognized among the past Korean citizens even with vast criticism on celebrating both the solar New Year and the lunar New Year and only praising the Solar New Year’s Day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re were accusations of celebrating both the solar New Year and the lunar New Year, which had lasted throughout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pres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ttempted to link the west modernization with celebrating only the Solar New Year’s Day. The modernization of the West, first adopted by Japan, also challenged the Korean government to adopt the modernization, which had a strong premise of the colonial modernity and encouraged the change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adaptation of solar calendar. This controversy over Solar New Year’s Day and the Lunar New Year’s Day clearly appeared on ‘Namchon’ with Japanese citizens and ‘Bukchon’ with Korean citizens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 Seoul(Keijyo). Such spatial division and regional distinction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ey created different scenes with the contrasting meanings of two New Year’s Days − the Lunar New Year’s Day and the Solar New Year’s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