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코페미니즘과 고전문학 연구의 접점 찾기-<궤호설>을 중심으로 (Reading Gweho Seol(饋虎說) from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2.06
27P 미리보기
에코페미니즘과 고전문학 연구의 접점 찾기-&lt;궤호설&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44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미

    초록

    이 글은 에코페미니즘과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접점을 통해 고전문학을 다시 읽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에코페미니즘에서 여성과 자연의 관련에 대한 논의를 어떻게 진행해 왔는가를 간략하게 살피고 유교와 도교에서 자연과 여성의 관계를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살폈다. 그리고 이덕무의 <궤호설(饋虎說)>을 분석했다.
    <궤호설>은 호랑이를 돌본 노파와 자신의 새끼를 돌봐 준 노파의 손자를 물어 죽인 호랑이가 등장하는 짧은 이야기다. 이덕무는 이야기의 주인공인 호랑이와 노파에 대해 ‘은혜를 모르는 호랑이와 포악한 노파’라고 개탄했다는 식자(識者)의 말을 가져와 이들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인간중심적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평가는 당연하다. 그러나 인간중심주의를 문제시하는 생태적 입장에서 볼 때 이 이야기는 쉽게 답하기 어려운 난처한 질문들, 예를 들어 종을 넘어선 돌봄과 소통이 가능한 것인지,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난다고 하는 것의 진정한 함의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들을 던진다. 이 글은 <궤호설>이 던지는 현재에 던지는 질문들을 당시의 생태적 맥락과 노파의 재현에 유의하면서 분석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tried to read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intersection of ecofeminism and Korean classical studies. For this purpose, I briefly looked at how ecofeminism has been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nature, how ecological and women's issues have been dealt with in Confucianism and Taoism, and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ing ecofeminism in read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en, I analyzed Lee Deok-moo(李德懋)'s Gweho Seol(饋虎說).
    Gweho Seol is a short story about an old woman who took care of a tiger and a tiger who killed the grandson of the old woman. The author, Lee Deok-moo indirectly suggests his point of view by mentioning intellects who lamentedly described the tiger as ‘an ungrateful tiger’ and the old woman as ‘a violent old woman.’ From a human-centered point of view, this evaluation sounds natural. But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ory raises more complicated questions that are difficult to answer, such as whether care and communication beyond species is possible, and what is the true meaning of being beyond humanism? This article analyzed these questions the Gweho Seol poses in our time, consider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old woman in it and the ecological context of the period when the story was writt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