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학파의 전개와 권상일의 성리설 (Development of Toegye School and Gweon Sang - Il’s Theory of Xing - li(性理說))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6.09
33P 미리보기
퇴계학파의 전개와 권상일의 성리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64호 / 151 ~ 183페이지
    · 저자명 : 홍원식

    초록

    청대淸臺 권상일權相一은 당시 영남을 대표하는 관료학자로서 퇴계학파退溪學派의적통嫡統이라는 학파의식과 남인南人이라는 당파의식을 확고하게 지닌 18세기 전반영남 퇴계학파의 중심적 인물이다. 갈암葛菴 이현일李玄逸 이후 퇴계학파는 집권 노론 세력들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한편 율곡栗谷 이이李珥로부터 비판을 받은 퇴계退 溪 이황李滉의 성리설을 옹호하고 이이의 성리설을 비판하는 데 온 힘을 쏟았다. 그대표적인 인물로 권상일과 성호星湖 이익李瀷 및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이 있다. 이세 사람은 남인으로서 정치적으로는 같은 입장을 가지면서도 학문적으로 각자의 관점에 따라 퇴계학설을 옹호하는 가운데 퇴계학파는 분화되어 갔다. 권상일은 이익, 이상정과 편지를 통해 논쟁을 전개하였는데, 논쟁의 핵심은 ‘리기호발설理氣互發說’이었다.
    일찍이 이이는 퇴계학설의 핵심이 리기호발설이라고 규정하고, 여기에 가장 큰 병폐가있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리기호발설의 가장 큰 병폐가 리와 기를 선·후로 나눠 구분해보는 것이라고 지적한 뒤 리는 발(動靜)할 수 없고 오직 기만 발한다고 주장하면서‘기발일도설氣發一途說’을 제기하고, 기는 리와 상관없이 스스로 발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퇴계학파는 기본적으로 리기호발설을 옹호하면서도 리의 발과 기의 발은질적 차이가 있음을 들어 ‘리발일도론理發一途論’적 견해가 제기되는가 하면, 기발일도설과 기가 스스로 발한다는 견해를 모두 비판하면서도 리의 직접적 동정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여기에서 권상일은 리기호발설이 퇴계학설의 정안定案이며, 리와 기를 결코 섞어서 볼 수 없고, 리가 직접적으로 동정하지 않는다면 ‘죽은 존재(死物)’가 되고 만다는 입장에 서서 이익·이상정과 논쟁하였다.

    영어초록

    CheongDae Gweon Sang-Il is an official and a scholar who represents Yeongnam region, he firmly holds the consciousness of school which is the main line of descent of Toegye school and the consciousness of political section which is Namin(南人), he is central figure of Yeongnam Toegye school in the former half of the eighteenth century. Since GalArm Yi Hyeon-Il, Toegye school politically comes up against the ruling Noron(老論) group, and dedicates to defending Toegye Yi-Hwang’s theory of Xing-Li which is criticized from Yulgok Yi-Yi and criticizing Yi-Yi’s theory of Xing-li. Gweon Sang-Il, SeongHo Yi-Ik and DaeSan Yi Sang-Jeong are representative men. The three people are Namin, they are politically in the same position but Toegye school is subdivided in defending Toegye’s philosophy academically according to each point of view. Gweon Sang-Il diputes with Yi-Ik and Yi Sang- Jeong by letter, the pith of the debate is ‘theory of LiGihobal(理氣互發 說)’. Whilom, Yi-Yi defines that the core of Toegye philosophy is theory of LiGihobal, criticizes that here is the greatest maladies. After he points out that the greatest maladies of theory of LiGihobal is divide Li and Gi as front and rear, he asserts ‘theory of Gibalildo(氣發一途 說)’ which Li cannot issue and only Gi issues, Gi issues on its own without reference to Li. About this, Toegye school fundamentally defends theory of LiGihobal, issuance of Li and it of Gi is qualitatively different, so has ‘theory of Libalildo(理發一途論)’. And they criticize theory of Gibalildo and opinion which Gi issues on its own, but have differing opinions about direct dongjing(動靜) of Li. Gweon Sang-Il stands on viewpoint which theory of LiGihobal is the established theory of Toegye philosophy, and he asserts Li and Gi cannot be mixed. And he claims that if Li directly does not issue, it becomes ‘dead being’.
    On this viewpoint, he disputes Yi-Ik and Yi Sang-J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