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蟾窩 李玄煥의 繪畫 관련 ‘說’ 작품 분석 (Analysis of ‘說’ works related to painting by Seomwa Lee Hyeon-hwa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2.02
34P 미리보기
蟾窩 李玄煥의 繪畫 관련 ‘說’ 작품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61권 / 39 ~ 72페이지
    · 저자명 : 정은진

    초록

    본 논문은 한문학 문체 가운데 說을 주목하여 繪畫와 說 문학의 관계를 점검하고, 이현환의 「崔北畵說」·「謹齋書畫說」·「圖章說」을 분석하였다. 알려진 대로 회화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한문학 문체는 書畫題跋이다. 서화제발이 주로 해당 서화작품에 관한 단형의 비평이 주를 이룬다면, 설은 보다 전문적인 시각에서 작자와 대상의 관계와 일화, 대상에 대한 작자의 주장과 평가 등이 통시적으로 조망된다. 그렇다보니 조선후기 소품의 발달과 함께 양적 증가를 보였던 서화제발에 비해, 설로 표현된 회화 담론 수는 현격하게 적었다.
    그런데 강세황․최북과 가까웠던 남인계 이현환은 설이란 문체를 통해 18세기 근기지역의 문화적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본고에서 논한 이현환의 「崔北畵說」·「謹齋書畫說」·「圖章說」은 최북의 회화, 이관휴의 서화수장, 회화에 첨부되는 도장과 이를 전각하는 인물 강세황을 다룬 작품이다. 제목을 ‘회화 관련 설’이라고 했지만 엄밀히 말해서 회화의 중심과 외연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이현환은 이 작품을 통해 서화에 대한 가치 부여, 최북·이관휴·강세황이라는 세 인물의 고도의 예술적 경지, 그들을 향한 짙은 공감을 표현하였다. 곧 회화 창작의 주변인이라 할 수 있는 이현환은 조선후기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했던 회화 창작 주체들의 회화관과 이념을 ‘설’을 통해 입체적으로 표현해 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說 by paying attention to 說 among the styles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analyzes Lee Hyeon-hwan’s 「崔北畵說」, 「謹齋書畫說」 and 「圖章說」. As is known, the styl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hat is closely related to painting is 書畫題跋. While 書畫題跋 mainly criticizes the short-form criticism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works, 說 sees diachronically the relationship and anecdotes between the author and the subject, and the author's assertion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from a more specialized perspective. Therefore, the number of discourses expressed in 說 was significantly less compared to Calligraphy and Painting, which showed a quantitative increase with the development of short literary wor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Namin-Party Lee Hyeon-hwan, who was close to Kang Se-hwang and Choi buk, conveys the cultural atmosphere of the 18th century Geungi region through the style of 說. Lee Hyeon-hwan’s 「崔北畵說」, 「謹齋書畫說」 and 「圖章說」 deal with Choi buk’s paintings, Lee Gwan-hye’s calligraphy and painting collection, the seal attached to the paintings, and Kang Se-hwang who engraved them. Although the title is ‘Painting-related Theory’, strictly speaking, the center and extension of the painting are expressed together. Through these works, Lee Hyeon-Hwan expressed the valu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the high artistic status of the three figures, Choi Buk, Lee Gwan-Hyu, and Kang Se-Hwang, and deep sympathy for them. Lee Hyeon-Hwan, who can be said to be a peripheral figure in painting creation, three-dimensionally expressed the views and ideas of painting creators who were active in Ansan, Gyeonggi-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說.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