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子의 「仁說」에 대한 體系的 理解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n 「RenShuo(仁說)」 of Zhuzi(朱子))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3.09
28P 미리보기
朱子의 「仁說」에 대한 體系的 理解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52호 / 373 ~ 400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본 논문은 朱子의 「仁說」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仁說」의 저작이 언제 이루어졌는지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한 논의가 없으나 대략 10년의 논의를 거친 후 41세∼44세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朱子 「仁說」의 저작 동기는 당시 다양했던 ‘仁’에 대한 논의를 「仁說」로 포함하기 위해서이다. 朱子는 「仁說」을 지어 그동안 다양하게 제시되고 주장되었던 仁에 대한 논의를 끝맺음을 의미로 글을 완성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宋代 性理學에서 ‘仁’ 개념을 정립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朱子는 ‘仁’을 ‘心之德 愛之理’로 규정하고 논의를 시작한다. 먼저 心之德으로서의 仁에 대해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愛之理로서의 仁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다음으로 物我爲一說과 知覺說에 대해 비판했다. 仁의 원리를 실천할 때, 결과로서 나타나는 것이 萬物一體라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를 알지 못하고 仁을 萬物一體로서 여겨 잘못을 범하고 있다. 또, 仁을 知覺이라고 하는 것은 仁과 知가 같다는 말과 같다고 비판한다. 知覺은 知에 속하는 것으로 仁包四德의 입장에서 보면 義⋅禮⋅知는 모두 仁에 포함되는 것이다.
    朱子는 湖湘學派의 張栻을 비판한다. 張栻과는 「仁說」에 대해 총 5통의 편지를 주고받는다. 그 가운데 첫 번째 편지와 다섯 번째 편지가 중요하다. 여기서도 張栻의 仁說에 대한 이해가 잘못된 것이므로 함께 고민해 보자는 말로 끝맺고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examined 「RenShuo(仁說)」 of Zhuzi(朱子). Although the written date of 「RenShuo(仁說)」 has not been agreed upon, a decade of debates puts it between 41 and 44 years of Zhuzi(朱子)’s age. The motivation behind Zhuzi(朱子)’s writing of 「RenShuo(仁說)」 was to integrate the then various debates on ‘Ren(仁)’ into 「RenShuo(仁說)」. The significance of Zhuzi(朱子)’s composing 「RenShuo(仁說)」 was in closing the diverse debates on Ren(仁). Such efforts were of great help in establishing the notion of ‘Ren(仁)’ of Neo-Confucianism(性理學) during Song dynasty(宋代).
    Zhuzi(朱子) starts his debate with defining ‘Ren(仁)’ as ‘XinZhiDe AiZhiLi(心之德 愛之理)’. Ren(仁) as ‘XinZhiDe(心之德)’ was mentioned first, followed by Ren(仁) as ‘AiZhiLi(愛之理)’. He went on to criticize WuWoWeiYiShuo(物我爲一說) and ZhiJueShuo(知覺說), according to which although the result of practicing the principle of Ren(仁) is WanWuYiTi(萬物一體), Ren(仁) is mistaken for WanWuYiTi(萬物一體). Identifying Ren(仁) with ZhiJue(知覺) is criticized as meaning Ren(仁) and Zhi(知). ZhiJue(知覺) is part of Ren(仁), and in terms of RenBaoSiDe(仁包四德), Ren(仁) comprises Yi(義), Li(禮), Zhi (知) altogether.
    Zhuzi(朱子) criticizes ZhangShi(張栻) of HuXiangXuePai(湖湘學派). Among five letters regarding 「RenShuo(仁說)」 between Zhuzi(朱子) and ZhangShi(張栻), the second and the fifth are important, which are closed with a suggestion that more thought be given regarding 「RenShuo(仁說)」 since ZhangShi(張栻)’s understanding of it is not corr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