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星湖僿說」의 「芝峯類說」, 「松南雜識」의 「芝峯類說」․「星湖僿說」 인용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quotations of Seonghosaseol(星湖僿說)'s in respect of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ongnamjapji(松南雜識)'s in respect of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eonghosaseol(星湖僿說))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1.06
39P 미리보기
「星湖僿說」의 「芝峯類說」, 「松南雜識」의 「芝峯類說」․「星湖僿說」 인용 양상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4권 / 495 ~ 533페이지
    · 저자명 : 강민구

    초록

    조선의 대표적 유서인 「지봉유설」․「성호사설」․「송남잡지」의 형성 과정에서 영향의 수수관계를 도식적으로 말해서는 안 된다. 기존 학계의 주장과 달리 「성호사설」과 「지봉유설」의 관련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 「성호사설」에서 언급된 「지봉유설」 관련 내용은 총 7건에 불과하다. 「성호사설」에서는 「지봉유설」에서 2건의 문장만을 인용하였을 뿐이다. 나머지 5건에서는 오히려 이수광의 오류를 비판하고 있다.
    「송남잡지」는 「지봉유설」을 321건 인용하였고 「성호사설」을 48건 인용하였다. 인용의 횟수만 놓고 본다면 「송남잡지」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우리나라의 문헌은 「지봉유설」이다. 그러나 단순 轉載는 많지 않으며 대부분 變改가 이루어졌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변개의 유형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축약이다. 이는 유서가 주로 다른 문헌의 내용을 引用 編綴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특성에 기인한다. 반대로 유서의 목적에 맞도록 인용한 원래의 글에 자구를 부연하는 유형도 있다. 또 중요도에 따라 인용문의 구절을 재배열하는 유형도 있는데, 이와 같은 도치의 경우에는 부정합 현상이 발생하기에 적절한 수사적 변개가 동시에 진행된다. 또 축약․부연․도치․자구의 변개가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유형도 있다. 그리고 인용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상당한 자구의 변개가 진행된 유형도 있다. 이와 같은 변개 인용의 양상은 「송남잡지」가 「성호사설」을 인용할 때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송남잡지」는 「지봉유설」․「성호사설」에서 인용한 내용을 다른 類에 귀속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조재삼이 「송남잡지」를 편찬할 때, 「지봉유설」․「성호사설」을 중요한 지식원으로 사용하였지만, 이수광이나 이익의 가치관·의식의 측면에서 차별성을 확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3대 유서의 찬자들은 중국 유서의 조선 version을 만들려는 생각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앞서 출현한 유서의 증보판을 만들려는 생각도 없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influence relations among Jibongyuseol, Seonghosaseol and Songnamjapji which are three representative encyclopedias in the Joseon dynasty should not be mentioned with schematic. On the contrary to an existing academic world's opinion, the correlation of Seonghosaseol with Jibongyuseol is not very high. The total quotation number of Seonghosaseol from Jibongyuseol is 7 case. In Seonghosaseol, two verses are just quoted from Jibongyuseol. In the rest, they criticize Leesugwang(李睟光)'s mistake. Songnamjapji has 321 quotation number from Jibongyuseol, and has 48 quotation number from Seonghosaseol. In the quotation number, Jibongyuseol has a decisive effect on Songnamjapji. In the quotation, the reprinting is not much and most of the quotation is modified.
    The most common modification style is abbreviation. Because the compilation of encyclopedia comes from quotation and editing over an extensive literature. On the contrary to this, there is a case that the wording was enlarged in the quotation which was fit for the encyclopedia's necessity. There is a case that the phrase quotation was rearranged according to importance. Because of mismatching in the inversion of normal phrase quotation, a rhetorical verbal modification was come about it concurrently. There is a case that was conducted abbreviation, amplification, inversion and verbal modification with complex. And there is a case that is not considered the quotation which made verbal modification considerably. Like this verbal modification was appeared when Songnamjapji quoted Seonghosaseol. In most cases, Songnamjapji belongs the quotations from Jibongyuseol and Seonghosaseol to different category regardless of its original signification. When Jojaesam(趙在三) publish Songnamjapji, he make use of Jibongyuseol and Seonghosaseol as an important knowledge fount. But he has a different set of values and consciousness from Leesugwang(李睟光) and Leeyik(李瀷). The three representative encyclopedias' compilers have neither any intention to publish the Joseon version of the Chinese encyclopedias nor made an enlarged e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