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허말년 禪詩에서 드러나는 버림과 깨달음의 상징성 (The Symbolism of Renouncing and Awakening in Ven. Gyeongheo’s Seon Poetry during the Last Years of His Lif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4.10
27P 미리보기
경허말년 禪詩에서 드러나는 버림과 깨달음의 상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47권 / 47호 / 225 ~ 251페이지
    · 저자명 : 박규리

    초록

    경허는 끊어진 우리나라의 선맥을 되살린 근대선의 증흥조로서 뿐만 아니라, 근초(近初) 한국 선시(禪詩)의 전범이라 할 만한 뛰어난 선시를 다수 남긴 선사로 유명하다. 그러나 경허는 1904년 갑자기 불교계를 떠나 1912년 입적할 때까지 환속 후 8년 동안 이전 시절과는 대조적으로 일체의 저술활동 없이 오로지 시(詩)만을 남겼다. 만약 불교 궁극의 목적이 깨달음에 있으며, 그 깨달음은 결국 인간 실존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소급되고 발현되어야 한다면, 경허 말년의 행화와 이에 바탕 한 그의 선시가 지니는 실존적 의미와 가치는 매우 지대하다 할 수 있다.
    경허는 일생토록 무애자재한 행화를 보였는데, 이러한 행화의 의의는 ‘불이문(不二門)을 증득한 초탈 방광함’이라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특별히 이러한 내적 논리가 그의 말년 선시에서에서 고스란히 구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경허 말년 선시의 발화방식과 상징성을 정리하자면 무위대도(無爲大道)와 평상무사(平常無事), 그리고 승속불이적(僧俗不二的) 버림과 반본회귀(反本回歸)라 할 수 있다. 특히 말년의 선시에서는 그의 주요 선사상이라 할 수 있는 이른바 그 어떤 분별도 집착도 생하지 않고[無生] 작위하지 않는[無爲] 최상승선의 도리가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경허 환속 후의 말년 선시에서는 그 무엇보다 승과 속이 따로 없는 진정한 불이의 세계에 대한 깨달음의 단상과 사유를 자유롭게 펼치고 있다. 이에 경허 말년 선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허의 최상승의 깨달음, 그리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차용된 파격적 선어(禪語)와 세속적 기물 감성을 얼마나 명안(明眼)으로 밝힐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불이대도문(不二大道門)에 이르지 못한 세인의 입장에서 경허 깨달음의 경지 내지 선시의 비의(秘意)를 올곧게 이해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바로 그러한 이유로 경허 말년의 선시는 더욱 예민하고 조심스럽게 다뤄져야 할 것이며, 더욱이나 경허 최상승의 도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세속적 잣대 내지 소승적 안목으로 그의 선시를 함부로 예단하고 규정짓는 오류에서는 벗어나야 하리라 본다.

    영어초록

    Gyeongheo is famous for his Seon poetry as well as for his activities revitalizing Korean Seon. During the eight years since his sudden leave from monastery in 1904 till death in 1912, Gyeongheo left no writing other than poems. We may reasonably expect that those Seon poems of his last years provide us with access to his post-awakening spirituality and life. They are precious materials for our understanding of how Seon Buddhist ideals may be embodied by an awakened Seon master’s everyday life.
    The Seon poems Gyeongheo wrote in his last years express the spiritual horizon where no more discrimination, attachment, or karmic activity arises even in the midst of the life of saṃsāra, that is, arising and ceasing. We can see such Seon ideals as “everyday life in nirvāṇa and asaṃskṛta” and “renouncement beyond the dichotomy of monkhood and laity” are working as the very basis of those poems.
    ‘enlightenment is not simply a subject but the very essence of Seon poetry. A Seon poem, by definition, is a song of enlightenment―a lyric of the One Mind, i.e., a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world of enlightenment. It is not that a particular kind of poetic form, subject, or rhetorical technique characterizes a lyric as a Seon poem. What makes a poem a song of Seon experience is the enlightenment the poet expresses by it.
    Gyeongheo lived a life of post-awakening during the last years. He lived in great freedom from all fetters of attachment including the dichotomous frame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His Seon poems in that period express his spirituality of asaṃskṛta and renouncement transcending all conventional discriminating frameworks,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very core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esth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