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학(通學)의 근대사: 경인선 기차통학을 중심으로 (The Modern History of Commuting to School: A Study of the Gyeongin Railway Lin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9.11
34P 미리보기
통학(通學)의 근대사: 경인선 기차통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77호 / 45 ~ 78페이지
    · 저자명 : 박준형

    초록

    이 글은 식민지기 경인철도를 이용한 기차통학생들의 실태를 복원하고 그들의회고를 통해 기차 공간을 분할하는 논리들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근대적 교통수단으로서의 기차는 근대적 교육에 대한 열망과만나 기차통학이라는 새로운 일상을 창출했다. 1900년에 완전 개통된 경인철도의 경우, 인천 내에 공·사립 초등학교가 다수 세워져 있어 통학 수요가 컸을 뿐만 아니라, 교육시설이 집중된 경성으로의 교통의 편의성 때문에, 일찍부터 기차통학생들이 등장했으며 전체 통학생 중 차지하는 비중도 컸다.
    기차통학생 수는 교육 서비스의 공급과 수요의 문제를 넘어 다양한 변수들의영향을 받았다. 인천 내 중등교육시설의 신설은 경인철도를 이용한 기차통학생수를 감소시키고, 일제의 대륙 침략으로 촉발된 경인 지역의 공업지대화는 이 일대 인구 증가와 함께 기차통학생 수를 증가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교육시설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더 나은 교육을 위해 기차에 오르기를 주저하지 않았으며, 전시물자 수송을 우선시한 전시체제하 기차 운행은 기차통학생들에게 커다란 타격을 가하기도 했다.
    이처럼 경인철도는 경인 간 지역차로 인한 불균형을 해소해 주는 역할도 했지만, 그를 이용하는 기차통학생들은 교통난이나 입학난 해결을 위한 희생양이 되어, 결국 경성 진입의 벽은 다시금 높아져 갔다.
    뿐만 아니라 기차 내에서도 다양한 공간 분할이 이루어졌다. 1등·2등·3등의 객차 구분은 본래 서비스와 요금의 차이로 인한 것이지만, 계급·민족·성별 등의 구분과 쉽게 동일시되거나 분할의 근거가 되었다. 그것은 차등적 사회에 대한일종의 ‘표절’이었으나, 그 과정에서 ‘모델’화된 기차는 거꾸로 사회의 차등성을정당화하는 상징으로도 활용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reality of students commuting by the Gyeongin Railway Line(京 仁線) and reviews the logic of dividing train space through a retrospection of the colonial period.
    The train as a modern means of transportation in Colonial Korea met the desire for modern education, creating a new way of everyday life called commuting by train. In the case of Gyeongin Railway(京仁鐵道), which was fully opened in 1900, students commuting by train appeared early on and the proportion of these students to all commuting students was high, not only because of the high demand for commuting due to many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仁川) but also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to Gyeongseong(京城), wher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ncentrated.
    The number of students commuting by train was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beyond the problem of the supply and demand of educational services. The establishment of new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reduced the number of students commuting by train, and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Seoul-Inchon area trigger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increased the population and thus the number of students commuting by train in the area. Despite the suppl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commuting by train increased for better educ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situations in which commuting by train was impossible due to train services under a war footing in which transportation of war material was prioritized.
    As such, Gyeongin Railway played the role of resolving the imbalance caused by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Seoul and Incheon, but commuting students using the train became the scapegoat for solving traffic congestions or school admission problems, ultimately raising the entry barrier to Gyeongseong.
    Furthermore, various spatial divisions were created in the train. The division of passenger cars into 1st, 2nd, and 3rd Class was originally due to differences in services and fare, but it was readily regarded in the same light as divisions of class, ethnicity, and gender and became the basis for separation. It was a kind of “plagiarism” for differentiating society, but the train “modeled” in the process, which is an idealized original, could be used as a symbol justifying the differentiation in reve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