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사상체계에서의 敬과 禪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egye's Gyeong and Seon(medit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08.12
36P 미리보기
퇴계사상체계에서의 敬과 禪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1호 / 11 ~ 46페이지
    · 저자명 : 이조원

    초록

    퇴계 이황(1501-1570)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성리학자 중의 한사람으로 주자학에 입각하여 독자적인 학설을 수립하고 16세기 이후 한국철학사에 뚜렷한 학맥을 형성한 분이다. 퇴계사상의 핵심은 敬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敬사상은 儒學의 理想인 성인 혹은 군자가 되기위해 자신에 부여된 자연의 이법을 인욕에 이끌리지 않고 구현되도록 하는 방법론이자 철학체계이다.
    수양론의 맥락에서도 퇴계사상의 핵심은 경사상이다. 퇴계에 의하면 경은 학문과 수양에 있어서 처음이자 끝이다. 경의 확보와 구현을 통해 학문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학문 및 수양의 방법이기도 하고, 인간이해의 원리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수양론에서 보면 경이란 현실의 혼탁한 기질이나 바깥 사물의 유혹으로부터 심신을 본래의 자리로 거두어 인간의 正位를 확보하기 위해 행사는 노력이다. 인간이 正位를 차지하게 되면(修身) 사회와 국가의 목적도 자연스럽게 도달된다.(治國平天下) 이런 점에서 퇴계의 학문은 실천도학이며 생활 그 자체가 학문이라고 평가된다.
    퇴계는 마음(心)을 一身의 주재자라고 주장함으로써 마음의 병을 다스리는 것이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 근본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七情인 人慾의 私와 결부되어있는 도덕적 악행을 버리고 모든 조화속에 완벽하게 갖추어진 도덕적 감정인 四端, 즉 天理를 보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퇴계의 수행론은 도덕적 차원의 행위를 가져온 心性의 내면적 성찰로 귀착되고 이는 불교 心學에서 강조되는 禪수행과 유사한 양태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퇴계의 활인심방이 인간의 심신단련법과 음식양생을 포함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것은 ‘마음 다스리기’(治心)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 가장 먼저 나오는 ‘中和湯’과 ‘;和氣丸’도 물질적인 약이 아니라 만병의 근원인 마음의 치료를 위한 처방인 것이다.
    퇴계에게서 몸의 주재는 마음이고, 마음의 주재는 敬이다. 마음은 몸 안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그 활동범위는 몸 안에 한정되어 있지 않다. 몸은 한정된 공간과 시간에 존재하지만 마음은 몸속에 갖혀 있지만 고금동서를 종횡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문제는 마음이 늘 하나의 모습이 아니라는 데에 있다. 이 마음은 이중적 구조를 갖고 있고, 복합적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이다. 敬을 지니는 지경공부는 한날 한때에 가능한 것이 아니라 밤낮을 두고 계속해야하는 항시적인 공부이다. 다시 말해 마음공부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ntended to study on Toegye's Gyeong and Seon(meditation). Toegye's Gyeong-thought is the main focus of his entire academic system. Toegye considered the goal of Gyeong-thought is to be Gunja(similar to gentleman in English) who is an ideal person at that time. Also he thought one should suppress his greed and live with heaven law by Gyeong. As conclusion, Gyeong is final method and way to ideal man and ideal society.

    In his case, Seon(meditation) is also concluded by Gyeong. His work, Hwalin SimBang, thought that all the diseases were in men's mind and the crucial medicine were also in mind. Those are 30 prescriptions guided by Hwalin SimBang. These methodologies are very similar to those in Buddism. Because Buddism emphasizes that sort of mind cultivation and Seon (meditation).
    This thesis tried to find out Toegye's Gyeong and Seon(meditation) is very near concept and also similar to Buddism's way of mind cultivation and Seon (medi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