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內喪在先 왕후릉과 석물제도 변화 (Queen’s Tombs Made Earlier than King’s and Changes of the Royal Tomb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2.06
30P 미리보기
조선시대 內喪在先 왕후릉과 석물제도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14권 / 314호 / 67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이순

    초록

    조선왕릉은 ‘繼志述事’의 차원에서 의례서 규범과 선대 왕릉을 참조하여 조성했기 때문에 일관성을 띠고 있다. 그러나 석물 제도에서는 지속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 변곡점에 왕보다 왕비가 먼저 세상을 떠난 내상재선 왕후릉 11기의 능(貞陵, 英陵, 順陵, 禧陵, 穆陵, 長陵, 翼陵, 明陵, 弘陵, 景陵, 洪陵)이 자리 잡고있다. 이는 조선왕실에서 전통과 규범을 중시하면서도 현실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權道로 변통했기 때문에 발생을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왕의 대상과 왕후의 내상의 의례에는 ‘孝’가 바탕에 자리하고 있다. 그에 비해 내상재선의 의례에는 왕의배우자에 대한 ‘義’가 우선한다. 물론 세자가 있을 경우에 세자가 主喪이 되고, 세자가 없더라도 왕위를 계승한 왕이 장례 주관자가 되니 기본적으로 효의 개념으로 장례가 치러졌다. 한편, 내상재선의 경우는 배우자인왕이 주체자가 되어 의례가 진행되므로 효보다는 부부간의 의리가 중요했다. 왕의 국정 경륜이 쌓인 상태에서 발생한 내상재선의 경우에 왕은 능 치장 과정에서 시대적 상황에 맞도록 석물제도의 현실화를 꾀했다. 특히 배우자의 능이 곧 壽陵인 경우에는 왕이 ‘權道’로 능의 조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제도변화를 단행했다. 새롭게 도입된 제도는 이후 왕릉 조성에서 규범, 즉 常經으로 자리 잡았다. 이와 같이 보수성이 강한 왕릉조성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었던 것은 常經과 權道라는 정치 철학적 개념의 기제가 있었기 때문이며, 조선왕릉 석물은 조선시대에 권도 개념이 이론에 머물지 않고 실제로 구현된 실증적인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Joseon royal tombs exhibit remarkable consistencies as they were modeled on precedents stipulated by the convention of “upholding the achievements of the forefathers” (gye ji sul sa 繼志述事). That said, the stone figures erected around the royal tombs underwent constant changes, of which the turning point was the construction of the eleven tombs of the queen consorts who died before the kings (Jeongneung, Yeongneung, Sulleung, Huireung, Mongneung, Jangneung, Ingneung, Myeongneung, Hongneung 弘陵, Gyeongneung, Hongneung 洪陵).
    This article argues that those changes resulted from the Joseon rulers’ exercise of quandao 權道, or political expediency, to resolve practical challenges in observance of traditions and inherited norms.
    In general, the notion of filial piety (xiao 孝) lay at the heart of the funerary procedures for the kings and queens. In comparison, however, when the queen died before the king, the funerary procedures were dictated by the notion of righteousness (yi 義) toward the royal spouse. When the heir to the throne, either the prince regent or the newly crowned, presided over the funeral, the notion of filial piety was still the principal guideline for arranging the funeral. Yet, since the funeral of the queen consort was officiated by the king as her spouse, fidelity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of paramount importance. When the queen consort died after the king had already built experience in dealing with state affairs, the king intended to have the system of stone figures, as part of the decorative scheme of the tomb, reflect circumstantial factors. In particular, when the tomb of the royal consort was prearranged before her demise, the king carried out quandao by involving himself in decision-making for the tomb construction and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arrangement of stone figures. Thereafter, the newly instated decorative system was deemed as an invariable norm to be followed (changjing 常經), serving as a paradigm for later construction of royal tombs. The political philosophy of changjing and quandao underpinned the changes in the otherwise conservative construction of royal tombs. The stone figures in the Joseon royal tombs, therefore, attest that the concept of quandao was exercised in managing actual state affairs beyond the theoretical level of political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