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의의 禪과 茶의 사상적 연관성 고찰 (A Study on Seon Master Choeui: Ideological Relevance between Seon(Zen) and Te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09.08
39P 미리보기
초의의 禪과 茶의 사상적 연관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4호 / 315 ~ 353페이지
    · 저자명 : 정영희

    초록

    조선 후기의 禪師 草衣意恂은 자신의 선사상을 현실 속에서 실천하며 선
    사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면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차와 관련
    해서는 개인의 차원을 넘어 오늘날 한국차문화의 정신적 근간이 되고 있다.
    초의선사의 禪觀은 不二門[中道, 中正]을 통해 一心, 즉 본성을 드러내는
    데 집중되어 있다. 일심은 不動心, 空이며, 본성을 드러내는 門으로서의 불
    이문이다. 또한 선사는 선 중심의 선교겸수를 중시하였으며, 다양한 수행법
    들을 수용하면서 현실의 삶 속에서 隨處作主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선사의 사상과 삶 전반에 나타난 不二의 핵심은 ‘中道’이다. 『東茶頌』에서
    언급하고 있는 중정도 바로 중도이며, ‘茶’를 통해 이 중도의 구현, 곧 선의
    궁극 세계를 실현하고자 했다. 중도사상을 바탕으로 體와 神의 無分離인 불
    이를 강조했고, 또 眞茶, 眞水의 본성을 설명했으며, 그리고 이는 곧바로 理
    事不離한 선세계의 구현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중도는 선사의 선사상
    임과 동시에 차의 정신이고, 차와 선이 불이문을 통해 드러난 一味의 경지
    이며, 선사상이 생활에서 卽現되어 나타난 선의 궁극적 경지이다.
    또한 선사가 차와 같이 실천적이고 생활적인 면을 중시한 것은 隨處作主
    를 이루며 철저히 선사로서의 삶을 살고자 했던 것에 기인한다. 그는 각각
    의 상황과 處處에서 作主를 실천하며 차를 따거나 만들고 마시는 행위 자
    체를 眞法化했다. 그 자체가 이미 삼매 속에 살아가는 禪行이었으며, 그것이 일체이고 중도이자 또한 茶道였던 것이다. 선사에게 있어서 다도의 실행
    은 곧 禪修行의 실천이자 완성이었다.
    이러한 초의의 중도사상과 수처작주의 삶의 태도는 茶, 詩, 書, 畵 등 다
    양한 방면에 내재되어 선의 생활화와 현실화를 이루고 있다. 특히나 선사의
    차 세계는 침체되어 있던 한국 차문화의 중흥을 이끌며 오늘날 한국차의
    정신을 대표하고 있다는 것에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Choeui Eusun, Seon mas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greatly
    influenced not only Seon thought but also a wide range of cultures
    as he put his Seon thought into practice in daily life. He, among
    others, laid the spiritual foundation to the Korean tea culture and it
    goes beyond the individual level.
    Master Choeui’s view on Seon thought focuses on manifesting our
    true nature, One Mind(一心), through the Gate of Non-duality(不二
    門) dubbed as the Middle Way(中道) or Impartiality(中正). One Mind
    represents Unmoving Mind(不動心), Emptiness(空), and the
    Non-duality Gate that manifests our true nature. In addition, the
    Seon Master placed importance both on Seon practice and on
    doctrinal study while centering on Seon, and sought to practice Make
    Yourself Master Wherever You Are(隨處作主) in day-to-day life by
    adopting various practice methods.
    352 한국불교학The essence of the Non-duality appeared in the Choeui’s thought
    and in his life lies in the Middle Way. Expressed in 『Dongdasong(東
    茶頌)』, Impartiality refers to the Middle Way and, through tea,
    Choeui pursued the realization of the Middle Way, namely the
    ultimate state of Seon. Based on the Middle Way, he highlighted
    Non-duality, that is body(water) and mind(tea) are not separate
    entities. He also elaborated on the nature of properly boiled quality
    water and correctly prepared tea, and that leads to embodiment of
    Seon in which the substance and phenomenon are not separate.
    Therefore, the Middle Way is Choeui’s Seon thought and at the
    same time the spirit of tea ceremony. It is a state that tea and Seon
    share the same taste, exhibited through the Gate of Non-duality, and
    the ultimate state that Seon is manifested in everyday life.
    Besides, his valuing something practical such as tea is derived
    from his personal attempt: he worked towards a life of true Seon
    master by practicing Make Yourself Master Wherever You Are. In
    each and every situation and place, he practiced Make Yourself
    Master Wherever You Are. Whether it was picking tea leaves, or
    making and drinking tea, he regarded the act as practice symbolizing
    the truth. The act itself is already Seon practice in Samadhi. It also
    embodies Oneness, the Middle Way and tea ceremony. To the Seon
    Master, conducting tea ceremony means practicing and perfecting
    Seon.
    Choeui’s view on the Middle Way and attitude towards MakeYourself Master Wherever You Are were incorporated in a number
    of areas such as tea,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thus Seon
    was realized in everyday life. His perspective on tea attache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revives the stagnant Korean tea culture
    representing the spirit of Korean t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