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각혜심의 간화선사상과 선시와의 상관성 (Jingag Hyesim's Seon Doctrines and Their Relevance to The Poetry of the Naked Hermi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7.12
32P 미리보기
진각혜심의 간화선사상과 선시와의 상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60권 / 60호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박규리

    초록

    본 논문은 혜심의 간화선사상이 그의 선시에 미친 영향을 살펴 그 상관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진각혜심은 고려시대 스승 보조지눌에 의해서 도입된 간화선을 널리 홍포하고 실질적으로 우리나라에 정착시킨 선사다. 혜심의 선사상은 돈오돈수의 경절법으로 특징 지울 수 있는데, 일상의 묘용(妙用) 중에서 깨달음을 추구하는 활달한 돈법(頓法)과 본래인(本來人)인 무사인(無事人)의 추구가 그 핵심이다.
    한국선시의 개창자로 손꼽히는 혜심은 고려시대 다수의 선시를 남긴 선사로 유명하다. 혜심은 그의 『무의자시집』에 무려 수 백 수의 선시를 남기고 있는데 여기에서 혜심의 선사상이 선시에 투영된 뚜렷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선시에는 한 선사의 선사상과 그의 지향이 오롯이 담겨있다. 마치 시인의 시정신과 철학이 시에 고스란히 녹아있게 마련인 것처럼, 선시 역시 각 선사가 이룩한 선적(禪的) 경지와 그 깨달음의 요체를 함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모든 선시에서 해당 선사의 구체적 선사상을 다 발견하기는 어렵다. 기본적으로 선사는 시인과는 달리 ‘선시’에 자신의 전부를 쏟아 붓고 매진하는 것이 아니라, 선을 통한 ‘깨달음[道]’을 얻기 위한 구도에 전존재를 걸기에 그렇다.
    이렇게 특정 선사의 변별적 사상 내지 수행법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담보하고 있는 선시를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혜심 선시에서 발견되는 ‘돈오돈수의 격외시’와 ‘의정타파의 화두시’는 문학적 가치와 더불어 선사상적으로도 그 의의가 매우 크다. 한 순간의 인식의 대전환을 통해 깨달음으로 직절하는 ‘돈오돈수의 격외시’와 본질적인 의문을 던지며 진리의 당체로 이끄는 ‘화두시’는 혜심 선시의 독보적이면서도 걸출한 특징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이렇게 혜심의 선시는 그의 선사상과 결코 유리되어 설명되어질 수 없는 직접적이고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영어초록

    When we attempt to understand Seon poetry, the point is not ‘an understanding of the poetry itself’ but of ‘enlightenment.’ The quality of a Seon poem is not determined by its ? as a poem but the poet’s Seon enlightenment experience implied in it. In other words, when we analyze a Seon poem, the focal point should be to reveal its esoteric implication of the poet’s enlightenment. There thus are difficulties in having proper sensitivities to and reaching at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a Seon poem, difficulties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we experience with other poems in general.
    What, then, are required of a critic of Seon poetry for proper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Seon poetry? To say the conclusion first, s/he needs to have proper “aptitude for Seon” and comprehensive “insight into Seon doctrines.” In Buddhist tradition, enlightenment experiences have been expressed in gāthās, beginning with that of the Buddha. While giving sermons, the Buddha stopped from time to time and reiterated his points in gāthās. Without understanding gāthās,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you have understood Buddhist teachings.
    It thus is a matter of great concern that there recently are some attempts to approach to the Buddha’s gāthās and Seon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secular literary criticism. Without discerning the essence of Seon poetry, i.e., the world of enlightenment, it never is possible to have appropriate access to Seon poetry, however brilliant sensitivity to and insight into literature you may have.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Poetry of the Naked Hermit (Muuija sijib), a collection of Jingag Hyesim’s Seon poems from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ones of recent studies of Seon poetry. It applies understandings of Hyesim’s doctrines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anhwa Seon(Kungan Chan) to his poetry and classifies his poems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eon topics:poems of sudden enlightenment; those regarding Hwadu meditation; and those of ‘subtle enlightenment.’ The relevance of Hyesim’s Seon doctrines to his poetry could thus be revealed.
    This is a new and creative approach in that Seon poetry is analyzed only in terms of Seon doctrines, without imposing literary theories in general. It is expected that this article suggest an example of Seon poetry study on the basis of solid understanding of Seon doctrines, and contribute somehow to establishment of a proper framework methodology of Seon po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