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8선 월경의 (비)가시화와 서사적 정당성 -분단 체제 성립 전후 38선 월경 서사를 중심으로 ((Non)Visualization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and Narrative Justification -Focusing on narratives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vision system)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9.12
36P 미리보기
38선 월경의 (비)가시화와 서사적 정당성 -분단 체제 성립 전후 38선 월경 서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3호 / 135 ~ 170페이지
    · 저자명 : 오태영

    초록

    38선은 아시아-태평양전쟁 전후 처리 과정에서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의 일환으로 전개된 미군의 한반도 주둔․점령을 위한 군사상의 필요에 의해 획정된 분할선이었다. 38선을 기준으로 이북과 이남에 소련군과 미군이 진주․점령하고, 군정청이 설치되어가는 가운데 남한사회에서는 38선 철폐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났다. 38선은 민족의 통일을 통한 독립국가 건설의 장벽으로서 해방은 되었지만 독립은 달성하지 못한 조선인들에게 독립을 위해 반드시 철폐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신탁통치 체제가 강고화되어가면서 38선은 남북한의 배타적 적대관계를 강화하는 이념의 분할선으로 작동하였다. 1948년 단독정부 수립, 남북한 분단 체제의 성립을 전후 한 시기에 생산된 38선 월경 서사에서 38선 월경의 행위는 민족 수난사의 맥락 속으로 포섭되어갔다. 그때 지난하고 고통스러운 38선 월경의 과정은 북에서 남으로의 방향성을 띄었고, 남한사회의 민족-됨을 예비하는 인구의 이동으로 가시화되어 서사적 정당성을 획득했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는 구식민자였던 일본인이나 불법적인 월경을 감행하는 잠상꾼들이 비록 흐릿하게나마 그 흔적을 남기고 있었다. 그들의 38선 월경은 구체적으로 서사화되어 제시되지 않은 채 비가시적인 것들로 남아 있었지만 엄연히 존재했다. 그런 점에서 38선 월경 서사는 월경하는 개인과 집단의 행위와 욕망을 민족적 층위에서 정당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38th parallel was a dividing line defined by the military necessity for the presence and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ost-Asia-Pacific War as part of US policy toward Asia. On the 38th parallel, Soviet and American troops were pearled and occupied north and south.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Military Administration, movements for the elimination of the 38th parallel have been activ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38th parallel was a barrier to building an independent state through national unification. Therefore, the Koreans who were liberated but did not achieve independence must be abolished the 38th parallel for independence. However,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trusteeship system, the 38th parallel acted as a dividing line of ideology that strengthened the exclusive hostility of the two Koreas. Accordingly, the 38th parallel acted as a dividing line of ideology that strengthened the exclusive hostility of the two Koreas. In the narrative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act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has been captured in the context of national suffering. At that time, the last and painful process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showed a direction from north to south. And it became visible by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that prepares for the ethnicity of South Korean society, and obtained narrative justification. But among them, the Japanese, who were old-time colonists, or those who practiced illegal crossing, had vaguely left behind traces. Their crossing the 38th parallel remained vaguely, though not specifically described, but existed. In that sense, the narrative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had the effect of justifying the behavior and desires of menstruating individuals and groups at the nationa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