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화선과 태극권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Kan-hua Chan and Taijiqu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9.12
31P 미리보기
간화선과 태극권의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0호 / 565 ~ 595페이지
    · 저자명 : 김희섭

    초록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는 “선(禪)은 고요한 곳에 있지도 않고 시끄러운 곳에 있지도 않고 생각하여 분별하는 곳에 있지도 않고 일상생활의 인연에 응하는 곳에 있지도 않다. 문득 눈이 열리면 전부 자기 집 속의 일이다.”라고 하였다. 태극권(太極拳)이 ‘움직이는 선[動禪]’이란 얘기는 기본적으로 이런 가르침에 합당한 선 수행의 하나란 얘기다.
    느림과 부드러움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권은 단순히 외형적인 동작을 익히고 외워서 상대와 대련을 통한 적응력을 기르는 무술이 아니라 한 번의 움직임으로 신체 각 부분과 내기가 함께 움직이는 기의 합일을 중시하는 무술이다. 따라서 태극권은 몸의 조건을 만드는 기본과정과 그 과정 후 이어지는 갈수 과정으로 나눌 수 있고 이 두 과정이 모두 선수행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간화선 수행의 용어로 정리하자면, 첫째, 몸의 내부와 외부의 합을 이뤄내는 태극권의 기본 과정은 대혜가 공부하는 이들에게 강조한 믿음과 주체의식이 그대로 적용된다. 이 과정은 인고의 시간과 수련이 필요하기에 흔들리는 않는 믿음과 주체의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둘째, 선(禪)을 불립문자(不立文字)의 공부라 하듯이 태극권도 말이나 글로 전달할 수 없는 공부이다. 의문을 가지고 화두를 들고서 말길이 없어지고 생각이 없어진 뒤에 깨침을 얻게 하는 간화선처럼 태극권의 성취도 몸의 고행만으로 얻을 수 없고, 생각과 문자로도 도달할 수 없는 ‘붕리제안채열주고’의 공부인 것이다. 셋째, 간화선의 독참(獨參)처럼 태극권의 갈수는 정문정안(頂門正眼)의 스승과 제자가 전통의 법수(法手)를 나누는 공부 과정이다. 서로 마주하여 교접(交接)을 이룬 양손의 그 접점에서 제자는 자신의 견처(見處)를 보이고 스승이 이를 이끌어 이윽고 혜능의 견성을 보고 대혜의 마음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a-hui(大慧宗杲: 1089-1163) said, “Chan(禪) is not in a quiet or noisy place and not in a distinguished or Nidana place. It is just in the place of yours when you open the door of it.” The fact that Taijiquan is called ‘Chan through moving’might be based on his word. Taijiquan representing Slow and Soft moving is not such a martial art as just is learned techniques of its arts and then applied for a fight, but it is the one to connect its outer motion with its inner energy making it united one. So Taijiquan is composed of two parts of which the first is a basic one making body be proper condition for Taijiquan and the second is kind of tou-shou practicing.
    The two parts can be called ‘Chan through moving’. This process can be explained by the terms of Kan-hua Chan(看話禪). First, the first part of Taijiquan’s body training course needs a concrete belief and inner-direction of Ta-hui’s. Because essentially this process costs any practicer a life of long exercise and endurance. Second, Taijiquan cannot be understood by any words or letters just as Chan can’t be passed on to anyone like that. Just as the enlightenment of Kan-hua Chan can be attained after losing a way of word and thinking by a means of having Hua-tou(화두) with a great doubt, Taijiquan also can’t be achieved just by hard training or a way of explaining or letters. Thirdly, Taijiquan is finished in the conversation between a master and a student just like Ducan(獨參) training in Kan-hua Chan.
    In the point of their intersection of two hands, the student can identify his own standard and find out the mind of Ta-hui and Hui-neng(慧能).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