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白雲禪의 無心과 平等意識 (Baekun Zen's No-Mind and the Consciousness of Equa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4.03
33P 미리보기
白雲禪의 無心과 平等意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8호 / 9 ~ 41페이지
    · 저자명 : 조영미

    초록

    본고에서는 백운의 어록 텍스트에 집중함으로써 백운이 딛고 서 있던 선법의 궁극은 무엇인가를 조명하고자 한다. 동시대를 산 선사로서 어록을남긴 太古普愚와 懶翁惠勤과도 차후 비교 연구가 가능한 한 축을 제공하리라는 기대에서이다.
    백운 禪法의 특색은 祖師禪에 있다. 조사선에 입각한 백운은 일상에서마주하는 낱낱의 존재와 현상에 깨달음의 轉機가 되는 실마리가 있다고 본다. 백운의 조사선 인식은 철저히 색과 소리와 언어에 바탕하고 있다. ‘조사선은 색과 소리와 언어를 떠나지 않는다.’라는 것이 그의 기본 인식이다.
    백운은 문자에 골몰하는 행태를 비판한다. 경론과 교설에 대한 백운의관점은 ‘한 글자도 설한 적이 없다(未曾說一字)’는 구절을 수용하는 대목에서 명료하게 드러난다. ‘한 글자도 설한 적이 없다’는 말을 통해 부처의 교설은 단지 방편상 설해진 것일 뿐으로서 설할 법도 전해 들을 법도 없다는취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사유 태도는 스스로 妙理를 터득하라는 自得 之妙의 공부법으로 발현된다.
    백운이 말하는 無心은 ‘곧바로 가리킨 마음(直指底心)’이자 ‘平常無事한마음’ 그것이다. 어떤 조작이나 집착 없이 평상시에 발휘되는 마음이다. 생겨난 그대로의 天眞한 마음이며 이 마음이 드러났을 때라야 비로소 하늘로부터 받은 본래적 기능인 天機를 자유자재로 펼칠 수 있다. 백운이 성취한無心의 가치는 평등의식으로 발현된다. 그러나 이는 절대 평등을 의미하지않는다. 차별상을 차별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 바로 평등이다.

    영어초록

    This text endeavors to elucidate the tenets of Baekun's Zen teachings through an examination of his aphorisms. It aims to furnish information conducive to prospective comparative analy ses with contemporaneous Zen luminaries such as Taegu Puyu and Yeongung Huikin.
    Baekun's distinctive Zen is characterized by "patriarchal Zen" (祖師禪). His patriarchal Zen perspective is firmly grounded in the realms of color, sound, and language, epitomized by the aphorism "Patriarchal Zen does not depart from color, sound, and language." Baekun critiques the proclivity for textual fixation and un equivocally states, "I have never spoken a single word," imply ing that the Buddha's teachings serve merely as expedient means with no inherent need for elucidation or auditory reception. This declaration becomes a recurrent subject of study in Baekun's aphorisms, reflective of his stance of rational in quiry manifesting as a method of self-study, underscored by the pursuit of "自得之妙(self-acquired marvel)." 白雲禪의 無心과 平等意識 / 조영미 41 This mode of study is not confined to any specific locus but is integrally embedded in the everyday milieu. It necessitates ac knowledging the absence of discrimination within the objective entity itself and advocates for the renunciation of discrim inatory thoughts.
    Baekun's concept of "無心(no mind)" is characterized as a "direct pointing to the fundamental mind" and the "mind of ordi nary non-attachment." It signifies a mind expressed without manipulation or attachment, freely manifesting in ordinary circumstances. The achieved value of "無心" by Baekun materi alizes as a world of equality founded on an egalitarian mindset.
    However, this does not imply absolute equality, as recognizing distinctions as they exist is integral to the concept of e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