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靑梅印梧의 禪詩 硏究 (A Study on the Zen Poetry of Cheongmae In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3.08
36P 미리보기
靑梅印梧의 禪詩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61호 / 241 ~ 276페이지
    · 저자명 : 권동순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靑梅印悟(1546~1621)가 남긴 『靑梅集』을 대상으로 청매의 일생을 조망하고, 시작품을 통해서 청매 선시의 전개양상과 특징 및 그 의의를 규명하였다. 이는 佛敎文學史에서 禪詩史 정립을 위한 예비 작업의 일환이다.
    靑梅는 淸虛休靜의 제자로 靑梅門派를 이루었으며 禪敎를 겸비한 禪僧이었다. 또 오로지 후학들에게 불법 전하기를 힘썼으나 전쟁에 참여하는 등 시대적 아픔을 외면하지도 않았다.
    그의 詩文集인 『靑梅集』에는 禪敎의 宗要와 融攝을 읊은 시들이 있다. 이 가운데 조사들의 本則公案에 대해 직접 시로 형상화한 拈頌詩에서는 無分別智의 空性과 더불어 天然之心이 곧 佛性임을 화엄의 事事無礙와 鳶飛魚躍, 平常心등으로 표현해 내었다. 또 깨달음의 세계를 開示悟入한 시에서는 理佛과 事佛의 一佛會通과 佛法과 世法이 다 妙法임을 無盡緣起와 一心思想등으로 그려내었다.
    청매는 오로지 출가자를 위하여 작시하였기 때문에 포교를 위한 은미한 표현법이나 순수 시문학적 성향과는 일정거리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그의 시는 ‘蔬箰氣’로 평가된다. 그의 시적 특징은 禪詩에서 필연적으로 등장하는 言語道斷의 禪語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敎學的이고 일상적인 용어의 직접적 사용과 說理的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또한 敎學用語의 반복 사용을 통해서 논리적 사유를 초월한 直觀과 體得을 요구하는 전형적인 禪詩의 이해방식도 끌어내고 있다. 이 점은 동시대 승려에게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靑梅 禪詩의 중요한 특징이다.
    청매 시의 위와 같은 특징은 16세기 禪詩의 한 면모를 보여주고, 17․8세기 禪詩의 說理的이고 敎學的 경향이 이미 이시기부터 전개 되고 있었음을 알게 한다. 특히, 청매의 拈頌詩는 唐宋시대로 부터 고려 慧諶까지 이어진 拈頌의 역사를 조선시대까지 전승시키고 계승, 발전시킨 禪詩文學史的 意義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lluminate the life of Cheongmae Ino(1546~1621) based on his Cheongmaejip during Joseon and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is Zen poetry in his poems as part of the preliminary work to establish the history of Zen poetry in the history of Buddhist literature.
    One of the pupils of Cheongheo Hyujeong, Cheongmae founded the Cheongmaemun School and was a Zen priest also equipped with Zen Buddhism. He devoted himself to conveying the teachings of Buddha to younger students and refused to turn his back on the suffering of the times by participating in war.
    In his anthology Cheongmaejip, there are his Yeomsong poems that embodied the Gangyo and Myoui of Josa's Bonchikgongan. The poems well present the aspects of Zen poetry that shows the noble cause of Buddhism based on one's own place in mind derived from the Gesong of Hyeneung and Shinsu. In his poems about Seondori and training methods, he beautifully embodied the world of realization with his remarkable poetic genius and did Jejeop for younger students. The study assessed his poems with “Sosungi” to demonstrate the code.
    His poems are characterized by no use of unspeakable Zen language that appeared in Zen poetry as a necessity, the direct use of Gyohak-style and everyday terms, and the Seoli-style tendency. Those characteristics distinguish him from other Buddhist priests that embodied the teachings of Buddha with contemporary words that were hardly recognizable. He also succeeded in promoting the typical way of understanding Zen poetry to require intuition and comprehension beyond logical thinking by repeatedly using Gyohak terms, which is another important characteristic of his Zen poetry that is hard to find in his contemporary Buddhist priests.
    Thos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exhibit the diversity of Zen poetry in the 16th century and demonstrate that the Seoli- and Gyohak-style tendency of Zen poetry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had already begun, thus making his poems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His Yeomsong poems especially claim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Zen poetry and literature for the transmission,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Yeomsong history from Tang and Sung Dynasties through Hyeshim of Goryeo to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