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선잠(先蠶) 악장 연구 (Study on Seonjam Akjang of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4.09
20P 미리보기
조선시대 선잠(先蠶) 악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4호 / 89 ~ 108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악장은 본래 원구(圜丘), 사직(社稷), 종묘(宗廟) 등 일정한 국가적 의례(儀禮)에서 신에게 올리는 제가(祭歌), 곧 제사에서 쓰인 노래이다. 악장문학이라는 명칭은 국가적 의례인 제사에서 신에게 바치는 노래인 악장이나, 궁중의 연향에서 사용된 송축적인 노래인 가사를 망라하는 포괄적인 시가 명칭이다. 연구자에 따라 악장문학의 외연이 조금 넓어질 수는 있으나, 그 본령은 신에게 바치는 제사노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제사노래로서의 각 악장은 유교의 종교적 의례 중 특정 제사에만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악장의 본질은 구체적 의례와 더불어 논할 때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악장 중 특히 제례악장의 본질을 제례 속에서 구명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종종 제기되었으나, 아직 구체적인 결과물은 없었다.
    이글은 선잠악장의 의미를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행례(行禮)과정과 연관하여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선잠악장은 조선시대 국가 제사인 선잠제(先蠶祭)에서 사용한 악장이다. 선잠제는 누에의 신인 서릉씨(西陵氏)에게 지내는 제사로 음력 3월 길한 사일(巳日)에 동교(東郊)에 있는 선잠단에서 거행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양잠과 관련되는 의례에서 사용한 악장은 변계량(卞季良)이 지은 <선잠악장>과, 국가전례서에 수록된 <선잠악장> 및 친잠례에서 사용한 악장 등 3종류가 있다.
    변계랑이 지은 악장은 『춘정집(春亭集)』에 수록되어 있다. 왕비가 직접 선잠단에 나아가 서릉씨에게 제사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관원을 보내 제사를 거행한 조선시대 국가제사에서 실제로 사용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국가전례서에 수록된 악장은 선잠제의 의례 과정 중 신에게 폐백을 바치는 전폐(奠幣), 첫 번째 잔을 바치는 초헌(初獻) 및 제사상에 올렸던 변과 두를 거두는 철변두(徹籩豆) 절차에서 사용한 것이다.

    영어초록

    Akjang means Jega, songs of sacrificial rites, which are songs dedicated to gods used in established national rites such as Hwangu(圜丘:worshiping heaven), Sajik(社稷:guardian deities of the state), Jongmyo(宗廟:the royal ancestors' shrine).
    The title of Akjang literature(the Aesthetics of a movement) includes the comprehensive poems and songs of Akjang, songs dedicated to gods in sacrificial rites of a nation, and Gasa(歌詞), glorifying songs used at feasts performed at royal court.
    There can be different wider or narrower extensions of Akjang literature according to different researchers, but Akjang basically has the characteristic function of ritual songs dedicated to gods.
    Akjang as ritual songs is used in some specific rites of Confucian religious rites.
    Therefore the intrinsic features of Akjang can be revealed when discussed along with the specific rites.
    The necessity has been raised that the essential natures of Akjang, especially of ritual Akjang, must be researched within the sacrificial rites, but no definitive studies in this regard were made ye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Seonjam Akjang in association with the process of practical etiquettes during national ancestral rites in Choseon Dynasty. Seonjam Akjang is a type of Akjang performed at Seonjam-je Ceremonial Rites in Choseon Dynasty. Seonjam Ceremonial rite, a specific rite for the God of Silkworms, Seoreung, was conducted with solemnity on the Auspicious Day of the Snake, in March of the lunar calendar at Seonjam altar located in Dong-gyo.
    Currently, there are three remaining Akjang: Seonjam Akjang by Byun, Gyeryang, the one included in National Rituals, and the last one performed at Chinjam-rye. Among those three, the one composed by Byeon, Gheryang is included in ChunjeongChip (the book with poetry and prose composed by Byeon, Gyeryang).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remaining Akjang contains the story of Queen’s performance of rites in person, it could be surmised that it would not be actually used in Choseon Dynasty due to the fact that the rites in Choseon era were practiced by the official crier the King sent. Akjang that is included in National Rituals is the one that is used for JeonPye (the offering of ceremonial food), Choheon (the first libation), and Cheolbyeondu (the removal of the ceremonial vessels from the altar for praying benediction after performing enshrinement politely) among procedures of Seonjam-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