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선불교 선정관의 후설시간론적 해명 (An Elucidation of Early Chinese Zen Buddhism on the Basis of Husserl’s Time Theory)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2.04
49P 미리보기
초기 선불교 선정관의 후설시간론적 해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유럽철학연구 / 28호 / 29 ~ 77페이지
    · 저자명 : 정은해

    초록

    이 글은 달마에서부터 남종 개조 혜능과 북종 개조 신수에 이르는 초기 선불교의 선정 관을 후설의 시간론에 의거해 해석하려 한다. 달마는선정에서의 마음 상태를 심여장벽(心如墻壁)으로, 혜가는 요요상지(了了常知)로 표현하였다. 선정에 들기 위한 방안으로 승찬은 유오간택(唯嫌揀擇),도신은 수일불이(守一不移), 홍인은 수본진심(守本眞心)을 강조하였다. 홍인의 수심(守心) 개념은 혜능에게서 견성(見性)으로, 신수에게서 관심(觀心)으로 구체화된다. 초기 선불교의 선정관에 대한 이런 개관 속에서 제기될 수있는 물음은 수심, 견성, 관심을 현상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아울러 선정에서의 마음 상태를 설명할 때 등장하는 주요용어들,곧 분별, 무분별, 관조와 불교 일반의 주요용어인 참회, 습기(習氣) 등에 대해서도 같은 물음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런 물음들과 관련해서, 필자는 그 용어들을 후설의 주요용어들인 대상화, 예지, 자기의식, 반성, 본능적 지향성등에 관련시켜 해석하였다. 필자의 해석에 따르면, 첫째로 분별은 의식의 대상화 작용을, 곧 파지에 의거해 예지하고 기억에 의거해 예상하며 대상을 동일화하고 외적으로 정립하는 것을 총괄적으로 지칭하는 말로 이해된다. 둘째로 무분별은 대상의 외적 정립을 중단하고, 기억과 예상도 차단하고, 본능적호기심에 기인하는 예지도 차단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로 관조는 사유가 본능적 호기심에 기인하는 예지 없이 곧바로 근원인상으로부터 출발하고, 사후에 파지들에 의해 예지가 생겨나고, 이로써 본래적인 시간성을 통해 대상적통일체들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넷째로 견성은 관조 자체에 대한 고도로고양된 자기의식이고, 이때 관조는 자기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의식으로서 망념의 발생을 허용하지 않는다. 다섯째로 참회는 후설이 현상학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는 반성에 의해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여섯째 습기는본능적 지향성에 의해 형성된 개인적 차원과 인류적 차원에서의 습득성(Habitualität)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자의 해석들이 유의미할 수 있다면, 현상학과 선불교는 일정한 정도로 서로를 정당화해주는 관계 속에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tries to elucidate, on the basis of Husserl’s time theory, some ideas of Zen (Dhyana) in early Chinese Zen Buddhismrepresented by major Zen masters from Bodhi-Dharma(菩提達磨) to Hui-neng(慧能) and Shen-su(神秀). Bodhi-Dharma said of the mind’s state in Zen that it is like a solid wall, while Hui-ko(慧可) said that the mind in Zen is one that clearly and distinctly knows. As the way to enter into Zen, Shung-chan(僧璨) recommended avoiding discriminative choice; Tao-hsin(道信), to concentrate on only one thing and not to allow one’s mind to scatter among various things; and Hung-jen(弘忍), to keep one’s Original True Mind. Hung-jen’s idea of ‘Keeping One’s Original True Mind’ was concretized into ‘Seeing into One’s Self-nature’ by Hui-neng, and ‘Observing One’s Mind’ by Sinsu. In this overview of the ideas of Zen in early Chinese Zen Buddhism, the following question can be raised: How can ‘Keeping One’s Original True Mind’, ‘Seeing into One’s Self-nature’or ‘Observing One’s Mind’ be phenomenologically explained? Likewise, similar questionsfor understanding Zen Buddhism can be raised in regard to its key words such as discrimination, indiscrimination, contemplation, repentance, and acquired disposition. In dealing with these questions, I have related some key terms of Zen Buddhism to Husserl’s major concepts, such as objectification, anticipation (Protention),self-consciousness, reflection, and instinctive intentionality. According to my inquiry,the following elucidation of the key terms of Zen Buddhism is possible. First,‘discrimination’ corresponds to the act of objectification which anticipates on the basis of retention, expects on the basis of remembrance, identifies objects, and posits these to be external. Second, ‘indiscrimination’ means to give up positing objects to be outside of the mind, remembering or expecting events, and anticipating something from instinctive curiosity. Third, ‘contemplation’ is that in which thinking begins with an original impression without anticipation issued from instinctive curiosity,anticipation comes later from retentions, and objective unities are at the end constructed through authentic temporality. Fourthly, ‘Seeing into One’s Self-nature’means that a highly elevated self-consciousness engages in contemplation, so that this as a consciousness captured by self-consciousness does not allow any delusion to arise. Fifthly, ‘repentance’ is possible only by means of reflection, which for Husserl makes phenomenology itself possible. Sixthly, ‘acquired disposition’ corresponds to the very habitus of both individuals and humankind, which is formed out ofinstinctive intentionality. If such an elucidation of the key terms of Zen Buddhism is to be meaningful, phenomenology and Zen Buddhism are involved in a relationship of mutual jus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유럽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