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魚聚善의 <中庸記疑> 연구-過程哲學의 관점으로- (A Study of “Jungyonggiui”(中庸記疑) by Eo-Chwiseon(魚聚善)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ss Philosoph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4.11
33P 미리보기
魚聚善의 &lt;中庸記疑&gt; 연구-過程哲學의 관점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8권 / 183 ~ 215페이지
    · 저자명 : 이병찬

    초록

    본 연구의 대상은 근대 한학자인 喚醒 魚聚善(1870∼1936)의 <中庸記疑>이다. <中庸記疑>는 『中庸』의 각 장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정리한 불과 43면의 저술이다. 하지만, 내용은 그의 삶을 일관하는 사유의 중요한 축인 『中庸』의 이해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거대 담론을 포함한다. 또한 위정척사의 선봉이었던 華西學派 정신의 근간을 탐구한다는 의미도 부여할 수 있다.
    어취선의 <中庸記疑>는 『中庸』 해석학이다. 그는 주자의 설명이 미진하여 의문이 들만한 『中庸』의 문제에 집중하여 설명하였다. 그중 도통에 입각한 정밀한 해석과 創見이 보이는 ‘中’과 ‘庸’의 의미해석을 본고는 過程哲學의 영원한 객체(eternal object)와 合生(concrescence)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어취선은 도통론을 계승하여 『中庸』의 ‘性’과 ‘道’ 개념으로 이단의 문제를 지적하고, 自然과 必然의 정밀한 해석, ‘費而隱’의 ‘而’의 풀이 등 새로운 시도에도 학파의 전통을 고수하였다고 믿었다. ‘橫說’과 ‘竪說’의 용어 사용에 宋時烈·李恒老·宋近洙·柳重敎 등 尤庵과 華西 學派의 영향이 비록 일부 엿보이지만, 그의 해석 가운데 가장 창의적인 부분은 ‘中庸’의 의미를 ‘橫說’ ‘竪說’로 설명한 것이다.
    보편성을 지향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해야 하는 것이 ‘中庸’의 실천이고, 다양한 함의를 담기 위해서는 해석의 포괄성이 중요하다. 어취선의 해석은 過程哲學에서 말하는 합생의 태도이다. 그 결과 당대 유학의 성과를 담은 어취선의 <中庸記疑>가 ‘中庸’ 해석의 정수에 좀 더 가까워진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모두 긍정하기에는 그 한계가 뚜렷하다. 그 추론의 과정은 道統을 중시하는 사고에 따라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통이라는 용어의 해석 가능성에 제한이 있었으며, 그 안에서 확대 해석을 통하여 논리성을 담보하려는 시대적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정적 존재론을 중시하는 전통적 관점에서의 평가이며, 過程哲學의 관점에서 보면 어취선의 견해는 합생을 통한 창조성의 발휘이며, 긍정적으로 평가할 여지가 충분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Jungyonggiui” (中庸記疑), a 43-page work by the modern Confucian scholar Eo Chwiseon (1870-1936), which summarizes his unique interpretations of each chapter of the Confucian classic Jungyong. Despite its brevity, “Jungyonggiui” encapsulates a profound discourse, revealing Eo's understanding of Jungyong as a central axis of his thought and providing insights into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he Hwasseo School, a leading proponent of the Wijeongcheoksa movement advocating for the preservation of Confucian orthodoxy and rejection of Western influences.
    Eo's “Jungyonggiui” is a hermeneutical study of Jungyong. Eo focuses on explaining passages in Jungyong where Zhu Xi's interpretations seem insufficient or raise questions. Notably, Eo employs the concepts of eternal objects and concrescence from process philosophy to analyze the meanings of jung (中) and yong (庸), demonstrating his precis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and his own original insights. To ful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o's interpretation,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how the grand discourse of human ontology and epistemology is embodied in “Jungyonggiui.” Eo's adherence to tradition while making new attempts, such as addressing false truth through the concepts of nature (性) and “the Way” (道), providing detailed interpretations of “natural” (自然) and “inevitable” (必然), and analyzing the conjunction “and” (而) in the phrase “expend and conceal” (費而隱), demonstrates his commitment to this tradition. While there are glimpses of the influence of Song Siyeol, Yi Hangno, Song Geunsu, Yu Junggyo, and other figures from the Wuam and Hwasseo schools, the most creative aspect of his interpretation lies in explaining jung and yong as “horizontal exposition” (橫說) and “vertical exposition” (竪說), respectively.
    The practice of Jungyong involves striving for universality while embracing constant change. To encompass diverse implications, interpretive comprehensiveness is crucial. Process philosophy provides an excellent methodology for explaining this phenomenon. Eo's interpretation aligns with the concept of concrescence in process philosophy. As a result, his “Jungyonggiui,” which encapsulates the achievements of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hip, undoubtedly approaches the essence of interpreting Jungyong. However, there are clear limitations to affirming everything. Eo's reasoning follows the principles of orthodoxy, revealing the inherent limitations of his era in seeking logical consistency through expanded interpretations of terms within the confines of his scholarly lineage. Nevertheless,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ss philosophy, Eo's view represents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through concrescence and serves as evidence of the organic nature of philosophy, offering ample grounds for a positive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