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지방관의 선물정치와 부채(扇) (Local Magistrate's gift-politics(膳物政治) and fans(扇) in Joseon period)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9.06
46P 미리보기
조선시대 지방관의 선물정치와 부채(扇)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15호 / 97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혁

    초록

    이 글은 조선시대 국왕으로부터 농민에 이르기까지 사회위계의 위로부터 아래로 향하는 ‘선물’이 지니는 의미를 조선국가의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와 연관시켜 설명해내려는 의도를 가지고 시작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지방관의 선물정치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포함과 배제의 兩價적인 행위에 기반한 가족주의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세기 말의 어느 날 경상도의 최남단인 固城에서 당시 府使였던 오횡묵이 그 고을 백성에게 행했던 선물 증여의 구체적인 한 장면을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여기서 고성 사람들이 부채를 받는 계층과 그렇지 않은 계층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점에 무엇보다 주목하였다.
    덕치주의는 선물정치를 가능하게 하던 이념적 근거였다. 이러한 증여에 나타나는 덕치주의의 관념을 단지 활력 없는 이데올로기로만 치부한다면 이러한 증여 행위의 의미에 접근할 길이 없게 된다는 것이 이 글의 기본 전제였다. 이 이념은 현실에서 증여로서 드러나 ‘남성ㆍ어른ㆍ양반 중심의 억압적인 질서’가 초래할 현실적 긴장 및 폭력적인 양상을 은폐하는 동시에, 그 자체가 신분제적 사회질서를 강화시키는 원리로서 작용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단오절에 선물로서 하사된 節扇은 본래 국왕이 독점하는 증여 체계에서 유통되었던 귀중품이었다. 절선은 국왕의 은혜를 표상하였다. 이 물건은 국왕과 대신, 상전과 하속, 친족 간, 혹은 향촌 내의 사회관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매개물로서 이용되었다. 절선의 증여를 통해 위로부터 아래로 ‘施惠- 報恩’ 관계의 정서적 연쇄망은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농민에 대한 지방관인 오횡묵의 태도는 매우 역설적이었다. 그가 농민들에게 증여한 돈, 담배, 바늘 등의 선물은 자애로운 아버지상을 형성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였다. 그렇지만 자애로운 아버지로 기억되고자 하였던 그는 농민의 정치적 성장을 결코 원치 않았기 때문에 결국 嚴父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것은 곧 국가적 가족주의 이데올로기, 즉 엄한 아버지로서 군림하려는 유교주의 가족국가가 갖는 한계이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at explaining the cultural meaning of presenting fans from the upper status including a king, connected with the familist ideology in Joseon period. The fans presented in the special day, May 5th, were special and expensive gifts. Above all, because their circulating course was monopolized by kings, they represented the merit of kings. Therefore this thing was used as the vehicle that mad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ivers and the recipients more tightened. It is said that the emotional webs of the bestowing-favors relationships was reproduced.
    But the fans O hoeng-muk(吳宖黙), the Koseong Magistrate(固城府使), gave his men(官屬) and some people in the town(鄕民) had the meaning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the above-mentioned fans. They were made by the extra finance. This giving meant their being placed outside the official order of the king. Otherwise his attitude towards the agricultural workers was ironical. He had the intention to be a lovely and warm father for them, but eventually remained a severe father. Because he didn't hope that they got to become politically an adult. It meant the limits of familist ideology in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