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禪源諸詮集都序』 선교일치 십소이(十所以)에드러난 규봉종밀의 선교관(禪敎觀) (The Viewpoints of Practical and Doctrinal exposed in the Ten Reasons of the Harmonious Integration of Chan(禪) and Doctrine(敎) of 『SeonWonJeJunJipDoSeo (ChanYuanZhuQuanJiDouXu; 禪源諸詮集都序)』 by Guifeng Z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0.12
35P 미리보기
『禪源諸詮集都序』 선교일치 십소이(十所以)에드러난 규봉종밀의 선교관(禪敎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4호 / 253 ~ 287페이지
    · 저자명 : 엄미경

    초록

    종밀은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에서 선문의 근원을 설하는데 있어서도 경론을 관련지어 설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선문의 모든 수행의 근본은 경론을 근거하여야 함을 밝히고 있다. 경론을 이끌어서 선과 일치시키고자 하는 이유를 설한 ‘선교일치(禪敎一致)의 십소이(十所以)’에서 교문의 경론에서 설하는 요지에 근거하여야 선의 가르침도 정통성을 갖는다는 논리를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으로써 선문을 융섭하고자 하는 그의 의도를 볼 수가 있다. 이는 당시 마조의 홍주종이 흥세함에 따라 교학의 약세로 말미암아 화엄종의 제5조였던 막중한 위압감으로 인해 화엄교학을 선문과 일치시키고자 함을 알 수 있고, 선문 가운데에서도 그가 속한 하택종의 교의로서 여타의 선문과 비교하여 그 우위를 설함으로써 하택종의 제5조로서 당시 흥성하고 있던 홍주종을 의식한 면도 엿볼 수가 있다. 종밀은 선종의 ‘달마가 전한 심(心)의 의미’에 대해 선종 내 4종의 종파에 전해 내려오는 가르침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심천득실을 판명함으로써 달마의 ‘심’은 결국 하택종으로 흘렀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당시 종밀의 시대적인 문제의식이 반영되었다. 당시 갈등을 빚고 있던 선종 내 여러 종파 간의 대립을 해소시키고자 한 그 나름의 해결방식을 사용하여 선문을 통합하려고 하였다. 또, 선문의 가르침도 결국 교문의 경론에서 의거하기 때문에 선과 교가 다를 바 없음을 설파하는 것으로서 선과 교를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종밀의 깊은 심중에는 선문의 하택종의 정통성과 약해져가는 교문의 입지를 다지기 위한 일환으로 선교일치의 이론을 펴게 된 것이다. 선문의 입장에서 화엄종을 융섭하고자 한 보조 지눌과는 반대 입장이었던 종밀의 선교일치의 주장 속에는 선이 흥성해감에 따라 화엄종 제5조로서 화엄교를 지키고자 하는 그의 입장이 엿보인다. 또한, 선문의 하택종의 제5조이기도 한 그는 선문의 4종 가운데에서도 하택종의 종지가 우위가 됨도 논하고자 하였다고 본다.

    영어초록

    Zongmi also described the source of the Chan school in the 『SeonWonJeJunJipDo Seo(ChanYuanZhuQuanJiDouXu; 禪源諸詮集都序)』, and in the end, it is clear that the basis of all the practice of Chan school should be based on the Sutra. The Buddha through the logic that the teaching of Chan has legitimacy only if it is based on the gist of the scriptures of the Doctrine school in ‘Ten reasons of harmonious integration of Chan and Doctrine’, which explains the reason to lead the scriptures to match the good. You can see his intention to cultivate Chan school through the teaching of. It can be seen that, as Mazu’s Hongju Order became prosperous at the time, due to the weakening of teaching, he wanted to match Huayan doctrine with the Chan school. By explaining its superiority compared to Chan school, it is possible to glimpse the consciousness of Hongju Order, who was prospering as the 5th Great Master of the Heze Order. Zongmi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teachings passed down to the four sects of the Chan school on the meaning of ‘the heart(心) conveyed by the Damo(達摩)’ of the Chan school, and found teaching of the deep and shallow, gains and loss. By proving that, Zongmi’s consciousness of problems of the times was reflected. In order to resolv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various sects within the Chan school that was causing the conflict at the time, he tried to unify the Chan school by using its own solution. As a result, Zongmi’s deep intention was to unfold the theory of missional unity as part of securing the legitimacy of Heze Order of Chan school and its weakening posi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Chan school, in the argument of the missionary unity of Zongmi, who was opposed to Jinul, who tried to cultivate the Huayan Order, his position to protect the Huayan Order as the 5th Great Master of the Huayan Order is seen as the Chan school rise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he, who is also the 5th Great Master of Heze Order of Chan school, wanted to argue that the ending of Heze Order became the dominant among the four sects of Chan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