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牛頭禪에 보이는 諸禪家 공유상통의 禪旨 - 宗密의 입장에 대한 비판과 보완 - (The common Chan - Zhi (禪旨) of all sorts of Chan - Family (禪 家) seen in Niu - Tou - Chan (牛頭禪) - a criticism and complement on the Zong - Mi (宗密) ’s stand - poi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6.08
33P 미리보기
牛頭禪에 보이는 諸禪家 공유상통의 禪旨 - 宗密의 입장에 대한 비판과 보완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44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박건주

    초록

    우두선을 비롯한 여러 선가의 선지와 법문은 궁극으로 마음을 잊는 망심 (忘心) 의 자리로 이끌고 있다. 우두선에 보이는 불용심 (不用心) ·부작의 (不作意) ·부사 (不思) ·불행 (不 行) ·무념 (無念) ·무심 (無心) ·절관 (絶觀) ·무사 (無事) ·망심 (忘心) 등 선지와 법문들은 실은 여러 선가의 법문에 거의 공통으로 보이는 것이며, 여타 선가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까닭에 후대에 선법의 지남 (指南) 으로서 소중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우두선을 통해서 여타 선가의 선지들이 원융 회통될 수 있다. 종밀이 우두선을 단순히 공무 (空無) 에 치우친 민절무기종 (泯絶無寄宗) 으로 보는 것은 큰 잘못이다. 반야의 선지를 포함하여 『능가경』을 비롯한 대승경론 전반의 선지가 함께 펼쳐져 있다.
    우두선을 비롯한 여러 선가의 선지와 법문들은 모두 법상 (法相) 의 장애를 넘게 함으로써 궁극의 망심 (忘心) 과 신증 (身證) 에 이르도록 이끌고 있다. 모두 다 소중하고, 필요한 법문들이다.
    단지 종밀이 自派인 하택종의 특장으로서 자랑삼아 제시한, ‘심체 (心體) 를 ‘지 (知) ’로써 드러내었다는 법문’은 여러 병폐를 낳게 되는 폐단이 있기 때문에 본래 여러 경론에서 심체 (心體) 를 ‘각 (覺) ’으로 드러내어 설한 뜻을 살펴서, 이를 통해 상사각 (相似覺) 을 얻고, 나아가 수분각 (隨分覺) 구경각 (究竟覺) 에로 진전해 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cluding niu-tou-chan (牛頭禪) all sorts of chan-family (禪家) ’s chan-zhi (禪旨) ultimately guide to get off one’s mind (wang-xin忘心) . Zong-mi (宗密), (780~841) , taking he-ze-zong (荷澤宗) as himself family, praised it as the highest and publicized the views of nan-dun-bei-jian (南頓北漸說) ·chuan-yi (傳衣) ·zhengbang (正傍) ·yi-ren-fu-zhu ( 一 人付囑) etc. fabricated by the disciple corner of heze (荷澤) by several writings.
    The chan-zhi (禪旨) of wang (妄) ·zhen (眞) ·kong-wu (空無) that Zong-mi presented as bei-zong (北宗) ·hong-zou-zong (洪州宗) ·niu-tou-zong (牛頭宗) chan-zhi, criticising and some like summary arranging the rest school, handed down as a signboard of each chan-family (禪家) in after ages. However in reality they were so fractional and slanted as can not be true chan-zhi of each chanfamily. And such presenting had regard for raise he-ze zong (荷澤宗) ’s position and lower the other chan-family rather than manifest real and profound each chan-zhi (禪旨) meaning.
    No making use mind (不用心)· no raising mind (不作意) ·no thinking (不思) ·no ascetic practices (不行) ·realize mind originally no concept (無念) ·realize mind originally no concept (無心) ·no observing practices (絶觀) ·ascetic practices (無事)· think no more of mind (忘心) were principal chan-zhi seen in niu-touchan (牛頭禪) , and they are in reality included commonly in chan-zhi of several chan-family.
    Because niu-tou-chan was early than the other chan-family, so must be estimated highly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of magnet in chan-way. On the ground of niu-tou-chan the other several chan-family’s chan-zhi can be reconciled.
    Zong-mi (宗密) ’s stand-point that niu-tou-chan was min-jue-wu-ji-zong (泯 絶無寄宗) slanted to kong-wu (空無) was wrong seriously. Including Prajn chan-zhi Lanka-Sutra and the chan-zhi in overall Mahayana Sutra are described together so neatly.
    Including niu-tou-chan several chan-family’s chan zhi all together lead to ultimate wang-xin (忘心 ; think no more of mind) and shen-zheng (身證 ; body naturally Bodhi). Therefore they ara all together significant and necessary instructions.
    Merely Zong-mi presented boastfully mind-nature (xin-ti心體) as ‘no-against cognition知 (靈知, 眞知) ’, but the letter ‘zhi (知) ’set a object forth as a premise, therefore causes much evil practice. In almost Sutra presented xin-ti心 (體) as ‘Bodhi (覺) ’. So it needs to observe the meaning in Sutra, and according to that meaning getting similar-Bodhi (xiang-si-jue相似覺) , subsequently should be proceeded to partially-realization-Bodhi (sui-fen-jue隨分覺) and to ultimateBodhi (jiu-jing-jue究竟覺)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