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形近字 ‘易와 昜’·‘內와 宂’의 자형 분석을 통한 嶽麓書院藏秦簡 校釋과 문자 연구 (Interpretation and Character Research of the Collection of the Yuelu Academ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hapes of Visually Similar Characters: ‘易(yì) and 昜(yáng)’ and ‘內(neì) and 宂(rǒ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2.10
30P 미리보기
形近字 ‘易와 昜’·‘內와 宂’의 자형 분석을 통한 嶽麓書院藏秦簡 校釋과 문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102호 / 255 ~ 284페이지
    · 저자명 : 이소화

    초록

    본고에서는 嶽麓秦簡에 보이는 ‘易과 昜’·‘內과 宂’, 두쌍의 형근자 자형 분석을 통해 嶽麓秦簡 서사자의 誤記 또는 釋文 작성자의 考釋 오류를 찾아내 校釋하고 해당 간문의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韓譯을 덧붙였다.
    秦簡의 易과 昜은 자형이 매우 비슷하나 日과 勿사이에 가로획 하나 유무로 구분되어진다. 易에는 중앙에 가로획이 없지만 昜에는 하나의 가로획이 존재한다. 두 글자의 이러한 차이점에 의거하여 본고에서는 세 부분의 석문을 교석하였다. 첫째, 嶽麓秦簡(壹)J39正의 석문에서 賜로 예정하고, 月+易으로 고석한 글자를 본고는 ‘月+易’로 예정하고, ‘腸’로 교석하였다. 둘째, 嶽麓秦簡(伍) 1669·1809·1849·1850·1851·1857·1892 죽간의 석문 ‘賜’를 ‘貝+昜(賜)’로 수정할 것을 건의하였다. 셋째, 嶽麓秦簡(壹)0007·(壹)0052·(叁)0477·(叁)1646+1648+2182·(叁)1649·(肆)1945正 죽간의 ‘陽’을 ‘阝+易(陽)’로 교정하였다.
    內는 入과 宀, 宂은 人과 宀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入과 人의 자형이 秦文字에서 빈번하게 혼용되어 쓰고 있기에 內와 宂 역시 秦簡에서 비슷하게 쓰고 있다. 본고에서는 嶽麓秦簡에 보이는 內와 宂의 자형 분석을 통해 양자의 차이점은 入이 宀 안으로 깊숙이 들어간 것은 內, 人의 하부가 宀 바깥으로 나온 것은 宂일 것이라는 가정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점은 두 글자를 구분하는데 항상 적용할 수 없음을 발견하였으며 죽간의 내용과 어휘에 근거해 두 부분의 오석을 찾아내어 수정하였다. 첫째, 嶽麓秦簡(伍)1149+C4-3-7正의 原釋者가 ‘内<宂>’로 고석한 글자를 ‘宂’으로 교정하였다. 둘째, 嶽麓秦簡(肆)1362正+J28의 ‘內’를 ‘宂’으로 교석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hapes of two pairs of visually similar characters—‘易(yì) and 昜(yáng)’ and ‘內(neì) and 宂(rǒng)’—seen in the Collection of the Yuelu Academy to find typos by the author or erroneous interpretations by the annotation writers and correct and interpret them. A Korean interpretation has been added to ensur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important sentences.
    易(yì) and 昜(yáng) seen in the Collection of the Yuelu Academy are very similar in terms of character shape, and they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 presence of one horizontal stroke between 日(rì) and 勿(wù). 昜(yáng) has one horizontal stroke in the center, while there is no such stroke in 易(yì).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haracters, this study corrected and interpreted three parts of annotations. First, the character determined as 賜(cì) and interpreted as has been determined as and interpreted as 腸(cháng) in this study. Second, this study suggests correcting 賜(cì) in the annotations written on the bamboo slips (1669, 1809, 1849, 1850, 1851, 1857, 1892) of the Collection of the Yuelu Academy (伍) to (賜(cì)). Third, this study has corrected 陽(yáng) written on the bamboo slips ((壹)0007, (壹)0052, (叁)0477, (叁)1646+1648+2182, (叁)1649, (肆)1945 of the Collection of the Yuelu Academy) to (陽(yáng)).
    內(neì) is composed of 入(rù) and 宀(mián), and 宂(rǒng) is composed of 人(rén) and 宀(mián). As 入(rù) and 人(rén)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in the Qin characters, 內(neì) and 宂(rǒng) have similar shapes in the Collection of the Yuelu Academy. This study analyzed the shapes of 內(neì) and 宂(rǒng) seen in the Collection of the Yuelu Academy and based on the analysis, made an assumption that if 入(rù) is deep into 宀(mián), the character is 內(neì) and if the lower part of 人(rén) is outside 宀(mián), the character is 宂(rǒng).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shape is not always applicable in distinguishing the two characters. Based on the content and words of the bamboo slips, this study found erroneous interpretations in two parts of the Collection of the Yuelu Academy and corrected them. First, the character interpreted by the original commentator as 内(neì)<宂(rǒng)> in (伍)1149+C4-3-7正 has been corrected to 宂(rǒng). Second, 內(neì) in (肆)1362正+J28 has been corrected to 宂(rǒng) with an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