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기독교문화·예술의 토착화 연구: 소금 유동식과 다석 유영모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digenization of Christian Culture and Art in the 21st Century: Focusing on Salt Liquid Diet and the Case of Daseok Yoo Young-m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3.06
33P 미리보기
21세기 기독교문화·예술의 토착화 연구: 소금 유동식과 다석 유영모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60호 / 181 ~ 213페이지
    · 저자명 : 이정희

    초록

    한국의 토착화신학은 문화예술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와 예술을 통해서 서양의 기독교문화를 접목하여 받아들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해방이후, 급속하게 서양기독교문화는 우리 문화를 파고들었고, 이것은 1960년 이후, 토착화논쟁이 일어나도록 했다. 하지만, 토착화 논쟁을극복하고, 서양의 기독교문화는 토착화를 위해 노력한 많은 신학자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특히 본고에서는 유동식 선생의 풍류신학과 그 이후 등장한 유영모선생의 토착화노력을 살펴보았다.
    다석의 경우, 토착화는 우리의 말과 글에 기독교의 의미와 뜻을 담아냈기 때문에 세계적인 신학작업으로서의 가치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유동식 선생은 이 부분에서 토착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배경과틀을 마련해주었다.
    이제 판소리, 그림, 회화 등에서 시도되었던 한국문화예술의 토착화는그 정점에 있다. 토착화 신학에 있어서, 서양의 기독교문화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무조건 배타적으로 거부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착화의 문제점에서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문화를 왜곡해서 받아들이고 또한 기독교문화에서 가장 핵심인 복음이 변질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21세기 한국문화는 한류와 함께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우리의 정체성을 찾고 한국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문화예술인들이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는 역토착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것이 이루어질 수있도록 다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Indigenous theology of Korea can be said to have started from culture and art. This is because they were able to graft and accept Western Christian culture through culture and art. After liberation, Western Christian culture penetrated our culture rapidly, and this led to debates on indigenization after the 1960s. However, overcoming the indigenization controversy, Western Christian culture has been developed by many theologians who have made efforts for indigeniz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looked into the Pungnyu theology of Mr. Yu Dong-sik and the efforts of Mr. Yu Yeong-mo to indigenize after that.
    In the case of Daseok, indigenization can be recognized as a world-class theological work because it contains the meaning and meaning of Christianity in our words and writings. Mr. Yu Dong-sik provid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framework to achieve indigenization in this area.
    Now, the indigenization of Korean culture and art, which has been attempted in pansori, painting, and painting, is at its peak. In the case of indigenization theology, either uncritically accepting Western Christian culture or rejecting it unconditionally and exclusively can be a problem. The biggest problem in the problem of indigenization is that culture is accepted with distortion and the gospe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Christian culture, is changed and appears. In the 21st century, Korean culture is expanding to the world along with Hallyu. There are cultural artists who are seeking our identity and promoting Korean culture to the world. In this respect, this paper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indigenization and suggests that multidisciplinar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achieve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