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군신화의 새로운 해석 -무량사 화상석의 단군과 치우를 중심으로- (A New Understanding of the Dangun Myth -Focusing on the Wu Liang Shrine Pictorial Stone Depicting Dangun and Chiyou-)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4.04
49P 미리보기
단군신화의 새로운 해석 -무량사 화상석의 단군과 치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종교연구 / 30권 / 30호 / 183 ~ 231페이지
    · 저자명 : 이찬구

    초록

    고려시대 일연(一然)스님이 찬(撰)한 삼국유사(고조선조)의 단군신화는 한민족에게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천신족(天神族)인 환웅과 지신족인 웅족(熊族)의 여성이결혼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곰설화는 호족(虎族)을 배제한 채 한국인의 의식을 오랫동안 지배해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88올림픽의 호돌이와 축구대표팀의 호랑이마크에서 보듯이 곰문화보다는 범문화가 우세하다.
    필자는 이런 전래와 현실의 차이점의 원인을 규명해 보기위해 단군신화를 재해석하여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찾은 자료가 중국 산동성에 있는 무량사(武梁祠)의화상석(畵像石)이다. 이 그림은 2천년 전 무씨(武氏)일가의 제작품으로 동북아의 신화나 전설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그 중에 필자가 주목한 것은 후석실(後石室) 제3석(이하 화상석)의 그림인데, 여기에는 웅녀(熊女) 대신에호녀(虎女)가 등장하고 있다.
    이 화상석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이루어졌다. 1942년에 중국의 유명서(劉銘恕)는 이 화상석을 치우(蚩尤)와 황제(黃帝)와의 탁록전(涿鹿戰)으로 보고 치우를 그 전쟁의 패자(敗者)로 설명하고 있다. 1946년 한국의 김재원(金載元)은 단군신화와 연계하여 설명하였으며, 특히 단군의 탄생을 밝힌 반면에 치우에 대하여는 조심스럽게 언급하였다.
    필자는 화상석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단군과 치우의 관계에 대해 유명서와 김재원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화상석 2층은 탁록전에서 치우가 승리하는 장면으로 본다. 또 화상석 3층에 등장하는 곰(熊)의 형상은 치우이며, 그 옆의호녀가 아기 단군을 안고 있고, 그 앞의 꿩(雉, 鸞)은 환웅을 상징한다고 해석하였다. 이처럼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호족의 배제가 아닌, 그것의 포용을 통해 곰족, 범족,환족의 3부족 연합설을 제기하고, 아울러 단군이 웅족인 치우의 후손이라는 두 관점에 의해 고조선의 건국사화인 단군신화를 재해석하여 역사의 단절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Dangun myth described (at the Gojoseon section) in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ompiled by Buddhist PriestIlyeon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a valuable cultural asset to theKorean people. The bear tale in which Dangun was born of Hwanungof heavenly descent and the bear woman from a bear-totem tribeworshipping the god of the earth has dominated the Korean psychefor so long, excluding the existence of a tiger-totem tribe. However,as demonstrated in Hodori, the official mascot of the 1988 SummerOlympic Games, and the tiger emblem in the uniform for the Koreannational football team, the culture of tiger worship has prevailedover the bear-worshipping culture in Korea.
    I thought that the Dangun myth has to be reinterpreted in order toshed light on the cause of such a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tale and reality. Therefore, I turned my eyes on the pictorial stonesat the Wu Liang Shrine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se carvingswere made by the Wu family about 2,000 years ago and have beenrated as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used for understanding NortheastAsian myths and legends. Among them, I paid attention to the thirdpictorial stone of the back stone chamber and a tiger woman, not abear woman, appears on the stone.
    The studies of this pictorial stone have been already conducted. In1942, Chinese Researcher Liu Mingshu regarded this stone as a portrayal ofthe battle of Zhuolu between Chiyou and the Yellow Emperor (HuangDi) and construed Chiyou as the loser of the battle. In 1946, KoreanResearcher Kim Jae-won explained the carved image by linking it withthe Dangun myth, and in particular, while he gave an account of thebirth of Dangun, he mentioned Chiyou in a cautious manner.
    I critically reviewed Liu Mingshu’s and Kim Jae-won’s opinions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gun and Chiyou who appear on thepictorial stone together. As a result, I interpreted the image on thesecond level of the stone as the scene of Chiyou’s victory at thebattle of Zhuolu. In addition, I understood that the image of a bearon the third level of the stone represents Chiyou, the tiger womannext to him seems to be holding the baby Dangun in her bosom,and that the pheasant in front of Chiyou symbolizes Hwanung. Isuggested the theory of the union between the three tribes: thebear-totem tribe, the tiger-totem tribe and the Hwanung-worshippingtribe by embracing the existence of the tiger-totem tribe instead ofexcluding the existence, and moreover, I reinterpreted the Dangunlegend,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from a new perspective thatDangun is a descendant of Chiyou who came from the bear-totemtribe, in order to overcome a gap in the history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