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遺事> 義解 「良志使錫」條의 “天王寺塔下八部神將”記錄 검토 (An Examination of the Record(“the Eight Divine Generals under the Cheonwangsa Pagoda”) in SamgukYus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4.08
24P 미리보기
&lt;三國遺事&gt; 義解 「良志使錫」條의 “天王寺塔下八部神將”記錄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44권 / 143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동하

    초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발굴조사(2006~2012년)를 통해 사천왕사 목탑지 기단 면석으로 사용되었던 녹유벽전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벽전은 3종으로, 내부에 표현된 인물상은 기존에 알려진 대로 ‘四天王’이나 ‘八部神將’으로 볼 수 없다. 하지만 13세기 편찬된 『三國遺事』에는 양지스님의 작품으로 “天王寺塔下八部神將”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본고는 『三國遺事』 義解 「良志使錫」條 “天王寺塔下八部神將”의 기록을 검토하면서, 사천왕사 목탑 기단에서 출토된 녹유벽전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三國遺事』가 편찬된 13세기 당시 벽전 상태나 형태에 초점을 맞추었다.
    13세기 목탑 기단에 있던 녹유벽전은 7세기 후반 처음 조성 당시의 모습과는 달리 이미 상당부분 훼손과 보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당시 일연스님이 사천왕사 목탑 기단부 녹유벽전의 도상을 완벽하게 인식하기는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일연스님이 목탑 아래의 조각상을 “八部神將”으로 기록한 것은 녹유벽전의 도상을 보고 판단한 것이 아니라, 기단 면석에 남아 있던 녹유벽전의 위치(장소)를 보고 ‘塔下 八部神將’으로 기록한 것이다.
    경주 사천왕사에서 출토된 녹유신장벽전은 7세기 후반 목탑 조성 당시 면석으로 사용된 부재이다. 하지만 『三國遺事』의 “天王寺塔下八部神將” 기록은 7세기 후반 목탑 기단부의 녹유벽전이 아닌, 고려후기 일연스님의 인식이 반영된 13세기 사천왕사 목탑 아래 있던 녹유벽전을 일컫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n excavation of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in Gyeongju conducted by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from 2006 from 2012 led to the discovery of green∼glazed tiles which had once decorated the foundation of a wooden pagoda set up in Sacheonwangsa Temple. The tiles unearthed at the site so far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images carved on them. The images have been regarded as those of either the Four Heavenly Kings or the Eight Divine Generals carved by a Buddhist monk named Yangji largely because of a passage, “the Eight Divine Generals under the pagoda of Cheonwangsa Temple,” contained in Samgukyusa.
    To answer the ques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ed passage in the “Chapter of Yangjisaseok,” Samgukyusa, to discover the true identity of the green∼glazed tiles unearthed at the foundation of the wooden pagoda of Sacheonwangsa Temple. This study is focused more o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decorative wall tiles made in the 13thcentury by which time Samgukyusa was compiled by Buddhist Monk Iryeon.
    The green∼glazed tiles made to decorate the foundation of a wooden pagoda in the late 7thcentury should have been considerably damaged by the 13thcentury. Therefore it must not have been easy for the monk historian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mages carved on the tiles. It is highly probable, therefore, that the record, “the Eight Divine Generals,” was made not after the historian actually saw the images but only considering the area, the foundation of a pagoda, where the tiles were originally located.
    The green∼glazed tiles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in Gyeongju are materials used to decorate the panels on the four sides of the foundation on which a wooden pagoda was erected in the late 7thcentury. The passage, “the Eight Divine Generals under the pagoda of Cheonwangsa Temple,” contained in Samgukyusa probably refers not to the tiles decorating the foundation of a wooden pagoda built in the late 7thcentury but to those discovered under the Sacheonwangsa wooden pagoda in the 13thcentury when Monk Iryeon compiled the history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