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半島 西南海岸 石舟說話의 歷史的 考察 (Study historic on a tale of Seokju on the Southeast Coast, Korean Peninsul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1.08
38P 미리보기
韓半島 西南海岸 石舟說話의 歷史的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25호 / 163 ~ 200페이지
    · 저자명 : 송화섭, 김형준

    초록

    한반도 서남해안 지역에서는 중국의 위진남북조시대와 당대를 배경으로 하는 石舟說話가 전승해오고 있다. 석주설화의 핵심은 배가 石舟, 石船이라는 점, 海岸漂着形이란 점, 佛法을 전하는 傳法船이란 점이다. 전법선에는 불상, 불경, 불탑 등 사찰 창건과 관련하는 불교보물이 배안에 가득 실려있다. 그리고 석주는 海岸에 漂着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는 佛緣의 땅을 찾아서 해안 포구에 到來하는 형식이다. 傳法船 외에 觀音像을 안치한 觀音船도 있다. 이러한 석주는 중국 長江 下流 杭州灣과 明州, 舟山群島에서 해상항로를 따라 한반도 서남해안에 漂着하는 방식을 보여주는데, 실제 중국 절강성 보타산에는 돌로 만든 배형상의 석주가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한반도 서남해안에서는 석주의 실체없이 설화전승이 이뤄졌지만, 중국 주산군도 보타산에서는 석주의 실상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불법전래가 중국의 항주만 장강유역인 明州 일대에서 한반도 서남해안 사이에서 이뤄졌음을 입증해준다고 볼 수 있다. 석주설화는 우리나라의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魏晋南北朝時代와 唐代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에 활발한 불법전래가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석주는 중국에서 佛像과 經典을 실고 海東 諸國에 불법을 전파할 목적으로 바다를 건너오지만, 중국 용문석굴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유민들이 불사활동을 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있다. 이처럼 양국 사이에서 활발하게 전개된 불사활동은 한반도 서남해안에 傳法船과 觀音船이 표착하는 석주설화의 배경이었다. 석주는 중국의 삼국시대, 위진남북조시대, 唐代에 이르는 기간에 신라와 백제 지역으로 건너오고 있다. 석주의 한반도 도래는 중국에서도 불교문화가 발달하던 西晋과 唐代에 집중되고 있다. 서남해안 지역에서 석주설화가 깃든 곳에는 불사활동 및 불교문화가 발달한 곳이다. 성덕사 관음사 사적기에 등장하는 대흥현은 충남 예산지역으로 백제불교가 발달한 곳이며, 해남 미황사에도 僧侶, 村主, 香徒가 佛事活動을 주도하였다는 역사 기록이 석주설화의 신빙성을 높게하고 있다. 석주설화는 단지 구전설화가 아니라 事迹記와 事蹟碑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역사적 사건일 수 있다. 석주설화의 역사성은 해남 미황사와 고창 大懺寺의 大雄寶殿이 一千年동안 5重修를 하였다는 상량문 기록도 뒷받침한다. 석주설화는 삼국시대 불교 공인 이전과 이후에 한반도 서남해안으로 중국의 불교문물이 전파해와 불사활동이 활발하게 전파되었음을 말해주는 상징성을 갖고 있다.

    영어초록

    There is a tale on Seokju (a ship made of stone) around the Southeast Coast in Korean Peninsula, which was from the period of Wi, Jin, Nam, Buk and Jo dynasty and Tang dynasty. The points of the tale are as follows. 1. the ship was made of stone, 2. the ship drifted ashore, 3. the ship was for educating Buddhist texts. The ship had Buddhism related treasures such as a statue of Buddha, a Buddhist text and a pagoda. The ship, Seokju, drifted ashore which means it looked for a place where it had a special connection with Buddhism. There was also a ship which had a statue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These ships came from Hangzhou of Chang Jiang, China to the Southeast Coast in Korean Peninsula through sea route. There is a ship made of stone in Bota Mountain of Zhejiang, China and it is protected by the government. There is also a tale on Seokju around the Southeast Coast in Korean Peninsula without a real Seokju. This shows that Buddhism introduced from Mingju around Chang Jiang in hangzhou, China to the South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backgrounds of the tale on Seokju are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nd the United Shilla Kingdom. The tale suggests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to Korea actively in that period.
    Seokju was from China with statues of Buddhist and Buddhist texts to Japan to propagate Buddhism but there is a record on people who were from Corea, Baekjae and Shilla and spreaded Buddhism in the cave of youngmoon in China. It seems that the active interaction of Buddhism between both countries became a background of the tale on Seokju which came to the Southeast Coast in Korean Peninsula with Buddhistic things. Seokju came to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Seojin Dynasty and Tang Dynasty when Buddhism grew actively. Places where the tale on Seokju settled in around Southeast Coast are the places where Buddhism developed. Daehoonghyeon which is in a record on Seongduk temple and Gwanum temple was a place in Yaesan, Chungnam, where Buddhism developed a lot during the Baekjae Dynasty. There is a historic record that monks, village chiefs and small communities lead Buddhistic activities at Miwhang temple in Haenam. The tale on Seokju is not a mere tale but it is a historic event based on records on temples and monuments. There is a historic record on Seokju that Mihwang temple in Haenam and Daecham temple in Gochang were renovated 5 times for 1000 years. The tale on Seokju shows that Buddhism came from China to the Southeast Coast in Korean Peninsula before and after the period of Three Kindoms and it was propagated a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