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獨島’ㆍ石島’의 地名 表記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Place Name of ‘Dokdo'·‘Seokd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8.09
24P 미리보기
‘獨島’ㆍ石島’의 地名 表記에 관한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36권 / 3호 / 39 ~ 62페이지
    · 저자명 : 서종학(徐種學)

    초록

    ‘石’과 ‘獨’ 그리고 ‘梁’과 ‘督’ 은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借字로서, ‘石’과 ‘梁’은 ‘돌, 독’(<돓<*돍)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 훈차자이고, ‘獨’과 ‘督’은 ‘독’을 표기하는 데 이용된 음차자이다. ‘獨’과 ‘梁’이 표기될 자리에 한자 ‘道’가 사용됨은 이들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돌, 독’을 훈차자를 이용하여 표기하면 ‘石, 梁’이 되고 음차자를 이용하여 표기하면 ‘獨, 督’이 되는 것이다. ‘石島’가 표기된 勅令은 古文書의 敎書에 해당하는 문서인데, 교서는 한문으로 기록하는 것이 하나의 전통이었으므로 ‘돌섬, 독섬’을 표기하려면 이를 훈차한 ‘石島’를 이용하는 것이 관례였다. ‘獨島’가 기록된 報告書는 고문서의 牒呈에 해당하는 문서인데, 첩정은 吏讀로 기록하는 것이 하나의 전통이었으므로 ‘돌섬, 독섬’을 표기하려면 음차한 ‘獨島’로 기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獨島’와 ‘石島’는 동일한 지물을 가리키는 異表記인 것이다.

    영어초록

    The place name, ‘Dokdo'(獨島), appeared first in 1906 in the report from Sim, Heung-taek who was the county chief of Ulleung-gun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the previous year(1905), the announce- ment from Shimane county(島根縣) in Japan announced that the island belonged to Japan. Based on this assertion that they announced dominium of the island first, the Japanese insisted that the island was theirs. Koreans, however, proclaimed that ‘Seokdo'(石島) fell under the jurisdiction of Ulleung-do according to the Royal Order 41 in 1900. For this reason, Koreans contended that they claimed the island earlier than Japan. In this respect, the question whether ‘Dokdo'(獨島) and ‘Seokdo'(石島) are referred to as the same island arises.
    Apart from a number of political and diplomatic issues regarding the island,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argument that ‘Dokdo'(獨島) and ‘Seokdo'(石島) referred to the same island, but they were spelled in a different way in terms of orthography of the borrowed sino-letter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at the orthography varied depending on the form of documents.
    ‘Seok'(石) and ‘Dok'(獨) were traditionally the borrowed sino-letters which had long been used historically. ‘Seok'(石) was a meaning- borrowed sino-letters (i.e. its meaning was borrowed from the character) to indicate ‘Dol'(돌), ‘Dok'(독)(<돓<*돍). And ‘Dok'(獨) was a sound- borrowed sino-letters (i.e. its sound was borrowed from the character) to spell Korean ‘Dok'(독). In the same fashion, ‘梁' and ‘督' played the same role as ‘Seok'(石) and ‘Dok'(獨) respectively. That is to say, ‘梁', a meaning-borrowed sino-letters, was used to indicate Dol(돌), Dok(독)(<돓<*돍), and ‘督', a sound-borrowed sino-letters, was adopted to spell Korean 독(Dok). In addition, it could be confirmed that 道 could replace ‘獨' and ‘梁’ based on research materials.
    Therefore, ‘Dol'(돌) and ‘Dok'(독) were written as ‘石' or ‘梁' if we use the meaning-borrowed sino-letters and they also were written as ‘Dok'(獨), ‘Dok'(督) if we use the sound-borrowed sino-letters.
    The Royal Order where ‘Seokdo'(石島) was spelled is an ancient document with a king's message and the message was traditionally written in Chinese. It was a custom to use the meaning borrowed letters ‘Seokdo'(石島) in order to spell Dolsum(돌섬) or Doksum(독섬). The report from Sim, Heung-taek where ‘Dokdo'(獨島) was recorded was chupjeong(牒呈), a kind of an ancient document, which was customarily written in idu(吏讀). Thus, it was a natural custom to have Dolsum(돌섬), or Doksum(독섬) recorded as Dokdo(獨島) by using borrowed sino-letters. All in all, ‘Dokdo'(獨島) and ‘Seokdo'(石島) are different orthography while referring to the same o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