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윤석 詩論 연구 (A Study on the criticism of poems by Hwang, Yun-seok(黃胤錫))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8.02
26P 미리보기
황윤석 詩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26권 / 26호 / 265 ~ 290페이지
    · 저자명 : 이상봉

    초록

    이재 황윤석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문학 외적인 성과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본고는 이재의 문학, 특히 그가 남긴 시론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가 남긴 방대한 양의 글 중에서 문학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다. 그 이유는 그의 가학과 스승 김원행의 영향인 것으로 보이는데 따라서 이재가 남긴 「고주집서」는 그의 문학관을 살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주집서」에서 이재는 재도지문을 먼저 천명한 다음 산문에 있어서는 『서경』과 한유ㆍ구양수를, 시에 있어서는 『시경』과 이백ㆍ두보를 각각 최고의 위치에 두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퇴계 이황(1501~1570)과 율곡 이이(1536~1584)가 주자의 도를 밝혀 우리나라의 풍속을 변화시킨 글을 지었다고 평가했고 그 외에 文에 있어서는 소재 노수신(1515~1590)ㆍ간이 최립(1539~1612)ㆍ월사 이정구(1564~1635)가 뛰어났고 詩에 있어서는 고죽 최경창(1539~1583)ㆍ옥봉 백광훈(1537~1582)·구봉 송익필(1534~1599)ㆍ손곡 이달(1539~1618)·석주 권필(1569~1612) 등이 우리나라의 문장을 광대하게 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고주집서」의 끝부분에는 뛰어난 시의 조건으로 風神의 시원함과 興象의 광대함과 음률의 淸圓함과 格調의 秀姸함을 제시했는데 이 중 풍신과 흥상은 唐詩를 정의하는 중요한 풍격이다. 그리고 이재의 이와 같은 견해는 이재가 愛玩했다는 胡應麟(1551~1602)의 『詩藪』에 유사한 모습으로 나타나 있어 이재의 말이 호응린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이재가 제시한 몇 가지 좋은 시의 조건 가운데 핵심이 되는 풍신의 시원함과 흥상의 광대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풍신과 흥상에 관해 구체적인 시 구절을 들어 비교 평가한 호응린의 평어를 근거로 살펴보았다.
    풍신을 위주로 한다는 것은 사전적인 의미로 볼 때 ‘작가가 자기 고유의 성품이나 정신을 과감하게 표현하되 작가 자신의 의도 또는 含意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과 합쳐지기를 힘쓴다는 것’ 즉, ‘작가정신의 형상화’인데 이것을 『시수』에 의거해서 다시 해석해보면 ‘인간의 감정이 시 속에 녹아있는 것’이었고 이는 흔히 말하는 ‘감정이입’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재가 좋은 시의 조건으로 주장한 風神之爽은 ‘감정이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시를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흥상의 사전적인 의미는 ‘詩文 가운데 표현된 정취’이다. 이를 『시수』에 근거해서 살펴보면, 흥상이 잘 표현된 시란 ‘詩文 가운데 표현된 정취가 미세하게 집중되어 있거나 범범하게 일반화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무한하게 뻗어나가도록 묘사한’ 시를 말하며 이것이 이재가 주장한 興象之曠의 함의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As to Studies about Hwang, Yun-seok(黃胤錫), the mainstream was not on literature. So I focused on his literature, expecially his criticism of poems. Among the large number of his writings, critics on literature are not plentiful. So 「Gojujibseo(孤舟集序)」 remained by him is very important to look out his thought about literature.
    In 「Gojujibseo(孤舟集序)」, he persist that moral philosophy(Do-hak; 道學) should be included in literature. And on prose writings, he insisted that Shih-Ching(詩經)ㆍYu(韓愈)ㆍLiu, Zongyuan(柳宗元) should be the best model of the world. On poetry, he insisted that Shu-Ching(書經)ㆍLi, Bo(李白)ㆍTu, Fu(杜甫) should be the best model.
    In Josen(朝鮮), he insisted that after appearance of Lee, Hwang(李滉)ㆍLee, Yi(李珥) there were lots of writers which prospered literature. And he estimated that Rho, Su-shin(盧守愼)ㆍChoi, Lib(崔岦)ㆍLee, Joeng-goo(李廷龜) in prose, Choi, Gyeong- chang(崔慶昌)ㆍBaek, Goang-hoon(白光勳)ㆍSong, Ik-phil(宋翼弼)ㆍLee, Dal(李達)ㆍGoen, Phil(權韠) in poetry enlarged literary field in Josen(朝鮮).
    Expecially at the end of 「Gojujibseo(孤舟集序)」, he presented that the very condition of being good poetry is Poongshinjisang(風神之爽)ㆍHeungsangjigoang(興象之曠) which are important factor of Tang poetry(唐詩). And It shows that Hwang was affected by Si-su(詩藪) written by Ho, Ying-lin(胡應麟). So I observed criticism by Ho, Ying-lin(胡應麟) which regarded as being accurate to define terms of Poonggyeok(風格).
    Putting Poongshin(風神) first is, in lexical meaning, that ‘writers should express his own temper and spirit boldly and should struggle to combine the object which he wanted to show with his intention and implicature' and that is ‘the shaping of writer's spirits'. If we reinterpret it with Si-su(詩藪), this will be ‘human feelings melt in poetry' and it also can be, as it is called, ‘empathy’. Therefore, Poong- shinjisang(風神之爽) which Hwang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of being good poetry express the poetry ‘those empathy is well made’.
    Lexical meaning of Heungsang(興象) is ‘the artistic effect presented in poetry’. Looking around it with Si-su(詩藪), we can see the fact that poetry which Heungsang(興象) is well presented are not only the artistic effect is presented skilfully but also which could be wide boundles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