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頤齋 黃胤錫의 18세기 지식인 스케치 –洪大容을 예로 하여 (Hwang Yeon-seok(黃胤錫)’s 18C Intellectuals Sketch- through Hong Dae-yon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5.12
35P 미리보기
頤齋 黃胤錫의 18세기 지식인 스케치 –洪大容을 예로 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29호 / 9 ~ 43페이지
    · 저자명 : 김승룡

    초록

    이 글은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를 통하여 18세기 조선의 지식인사회를 스케치할 것을 목표로 한다. 그간 『이재난고』는 실학 담론의 근거 자료로서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이 책은 당대 사회를 조망하는 프리즘으로 다시 소환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재’를 시대를 읽는 눈으로 의미부여하고자 한다.
    이 글은 특히 이재가 ‘홍대용(洪大容)’을 추억하며 기록한 내용에 관심을 갖는다. 홍대용은 18세기 최고의 실학자이자 사상가였다. 이재와 홍대용은 같은 스승을 모셨지만 직접 본 것은 서로 학문적으로 성숙한 뒤였다. ‘『이재난고』 속의 홍대용’을 하나씩 추출하여 엮어 스토리화하는 순간, 홍대용은 다정다감한 학자로 다가온다. 그는 또한 이재와 학문을 토론하며 자신이 중국에서 구한 책을 나눠보도록 하는 등, 배려 깊은 성격의 소유자였다.
    이처럼 일기 속의 이야기를 스토리화하는 것은 단일한 주제의 독립적 완결을 도모하지는 않는다. 각 소주제들은 더 큰 주제로 집결되거나 다른 소주제로 확산되어 나간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지식인 사이의 관계망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즉 인물 관계의 온톨로지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이재난고』를 읽는 방법으로 제안해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ketch the Chosen’s intellectuals-society of the 18th century through Yijae (頤齋) Hwang Yun-seok (黃胤錫)’s Yijaenango (頤齋亂藁). Simultaneously, Yijaenango researched and worked on the materials of the Silhak discourse. It is now necessary to view this book through the prism of contemporary society. This study shows Yijae as one who has contemporary understanding.
    This study focuses on records that Yijae had of Hong Dae-yong. Hong Dae-yong was the best Silhak scholar and philosopher of the 18th century. While both studied under same teacher, they did not meet personally until after they had matured academically. When we extract the story of Hong Dae-yong in Yijaenango, Hong Dae-yong seems an affectionate scholar. He was also a considerate person - discussing studies with Yijae, sharing his Chinese books, etc.
    Creating a story from diary entries doesn’t necessarily lead to an independent ending with a single topic. Each of the sub-themes concentrates on one theme or creates other sub-themes. This process leads to finding social networks among intellects. In other words, an ontolog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is required. I suggest that this be the strategy of reading Yijaenang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