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대에 선 카츄샤와 번역극의 등장–<부활> 연극의 수용 경로와 그 문화 계보학– (Katyusha on stage and the emergence of translated drama - Course of accepting a play The Resurrection and the relevant genealogy of culture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3.10
29P 미리보기
무대에 선 카츄샤와 번역극의 등장–&lt;부활&gt; 연극의 수용 경로와 그 문화 계보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8호 / 409 ~ 437페이지
    · 저자명 : 우수진

    초록

    예성좌는 1916년 3월 신파극의 개량을 내세우며 창립공연으로 <코르시카의 형제(The Corsican Brothers)>를, 약 한달 뒤 『부활』의 번역극인 <카츄샤>를 무대에 올렸다. <카츄샤>의 원작은 엄밀히 말해 앙리 바타이유(Henry Bataille)의 <부활(The Resurrection)>(1902)이었다. 시마무라 호게츠(島村抱月)는 이를 1908년에 번역 재궁성하여 예술좌에서 공연했고, 예성좌에서는 1915년 내한했던 예술좌의 공연을 참고하여 공연했던 것이다.
    <코르시카의 형제>는 ‘잘 만든 신파극’이었지만, 전적으로 새로운 작품은 아니었다. 복수극은 기존의 신파극에서 가정극과 함께 가장 많은 인기와 비중을 차지하는 익숙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서구적인 무대와 의상의 번안극은 이미 1914년 혁신단의 <단장록>에서부터 시도되고 있었다. 이제 연극적 새로움은 더 이상 번안극의 몫이 아니었다.
    예술좌의 <부활>과 예성좌의 <카츄샤>는 톨스토이의 『부활』을 각색한 프랑스의 극작가 앙리 바타이유의 <부활>을 원작으로 했다. 당시 서구에서 톨스토이의 『부활』은 가장 뜨거운 문화적 아이콘이었다. 앙리 바타이유의 <부활>은 1902년 가을 파리의 오데옹 극장(Théâtre de Odéon)에서 초연되었으며, 다음 해인 1903년 2월 18일에는 히즈 마제스티 극장(His Majesty’s Theatre)의 경영자이자 소유자, 그리고 배우였던 허버트 비어봄 트리(Mr. Herbert Beerbohm Tree)에 의해 런던과 뉴욕에서 동시 공연되었다. 당시 런던 유학 중이었던 시마무라 호게츠 역시 히스 마제스티 극장 안에서 <부활>을 지켜보았으며, 십여년 후 그는 예술좌를 창단하여 <부활>을 번역 재각색하여 공연했다. 예술좌의 <부활>은 1915년 우리나라에 내연(來演)하였는데, 그로부터 약 6개월 후 예성좌의 <카츄샤>가 단성사에서 공연되었다.
    앙리 바타이유의 각색은 카츄샤의 참회와 개량의 과정을 강조하는 멜로드라마였으며 공연은 대성공이었다. 동경 예술좌의 <부활> 역시 대성공이었지만, 여기에는 톨스토이와 『부활』의 유명세 못지않게, 극중가인 <카츄샤의 노래>가 유행하면서 발생시킨 ‘카츄샤 신드롬’이 더 크게 작용했다. 그리고 이는 우리나라의 예성좌 <카츄샤> 공연에서, 톨스토이와 『부활』 자체보다 <카츄샤의 노래>의 강조로 전도되었다. 이후, 본격적으로 신극운동을 자처한 토월회와 극예술연구회의 공연에서도 카츄샤는 언제나 그 전경(前景)에 서 있었다.
    예성좌의 <카츄샤>는 드라마투르기적으로 기존의 신파극, 특히 ‘가정비극류’ 신파극이 보여주었던 가정극 멜로드라마(domestic melodrama)와는 다른 종류의 멜로드라마였다. <카츄샤>가 대중적인 멜로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신파극 레퍼토리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은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특히 카츄샤는 새로운 유형의 여주인공으로서, 사생아로 태어나 하녀로 자랐으며, 네플류도프의 사생아까지 낳은 후에는 창녀가 되었다. 게다가 카츄샤의 도덕성마저 그리 강한 편이 아니었다. 그녀는 네플류도프의 유혹이 옳지 않다는 것을 알았지만 끝까지 거부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아이를 잃은 후에는 손쉽게 창녀의 삶에 빠지고 말았다. 하지만 카츄샤는 참회와 개량의 과정을 통해 ‘개량된 인물(reformed character)’, 즉 도덕적인 인간으로 거듭 태어난다. 뿐만 아니라 가정극 멜로드라마의 여주인공처럼 네플류도프와 결혼하여 가정에 안착하지 않고, 평생 죄수를 위해 봉사하기로 결심한다. 이는 기존의 가정극 멜로드라마에서 통상 개인과 가정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던 주인공의 고난과 해피엔딩을 공동체/사회의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키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Advocating the reform of melodrama, Yeseongjwa(藝星座, The Art-Star Theater Company) staged The Corsican Brothers in March 1916 in celeb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heater company. A month later, Katyusha the translated drama of Resurrection was staged. Strictly speaking, the original work of Katyusha is Henry Bataille’s Resurrection (1902). Hogetu Shimamura(島村抱月) translated and rearranged the work in 1908 to be performed by his Yesuljwa(藝 術座, The Art Theater Company). The performance of Katyusha by Yeseongjwa was inspired by Yesuljwa’s play, which showed in Korea in 1915.
    Although The Corsican Brothers was a well-made melodrama, it was not an entirely new piece of work. The audience was already fairly accustomed to such revenge plays, which were, along with the domestic plays, the most popular and common genres of melodrama.
    Furthermore, Western-style stages and costumes were already being tried out by theaters, starting with the Hyeukshindan(革新団, The Innovation Company)’s Danjangrok(斷腸錄) in 1914. Theatrical originality could no longer be found in translated plays.
    Yesuljwa’s The Resurrection and Yeseongjwa’s Katyusha were based on the French playwright Henry Bataille’s Resurrection, which is an adaptation of Tolstoy’s Resurrection. At the time, Tolstoy’s Resurrection was the hottest cultural icon in the Western world.
    Henry Bataille’s Resurrection was staged for the first time in the autumn of 1902, in the Théâtre de Odéon in Paris. On February 19, 1903, the play was simultaneously performed in London and New York and organized by Mr. Herbert Beerbohm Tree, who was not only an actor but also the manager/owner of His Majesty’s Theatre. Studying in London at the time, Hogetu Shimamura also watched the play at His Majesty’s Theatre. Ten years later, he founded Yesuljwa and staged Resurrection after translating and readapting the story. Yesuljwa’s Resurrection came to Korea in 1915. Six months later, Yeseongjwa’s Katyusha was performed at Dansang Theater.
    Henry Bataille’s adaptation was a melodrama that emphasized the process of Katyusha’s repentance and reform. The performance was a huge success. The play performed in Tokyo( 東京), at Yesuljwa, was also successful. However, in Tokyo, the theme song of the play, The Song of Katyusha, also became popular along with Tolstoy and Resurrection contributing to the Katyusha syndrome. The Katyusha performance held at Korea’s Yeseongjwa also placed greater emphasis on The song of Katyusha rather than the work of Tolstoy, and ‘Katyusha’ also stayed in the foreground of performances shown at Towolhwe(土月會, The Earth-Moon Company) and The Theatrical Art Research Society(劇藝術硏究會).
    Yeseongjwa’s Katyusha possessed dramaturgical characteristics and was thus a different type of melodrama from previous plays, especially the domestic melodrama. This was probably why Katyusha was not perceived as a melodrama repertoire even though it became popular among the general public. Katyusha was a new type of heroine she was born out of wedlock, raised as a maid, and became a prostitute after giving birth to Nekhlyudov’s love child. Moreover, Katyusha was not a very ethical person as a melodramatic heroine. She knew it was wrong to succumb to the seductions of Nekhlyudov but did not refuse.
    And, after losing her child, she easily took the path of prostitution.
    However, through a process of repentance and reform, Katyusha becomes a reformed character and is reborn as an ethical individual.
    She decides to serve prisoners for the rest of her life, which also distinguishes her from other heroines of the domestic melodramas, who would likely have married Nekhlyudov and settled down in the happy-ending. Thus, instead of restricting the heroine’s hardships and happy ending to the individual/family dimension, as previously seen in other family melodramas, this play expanded the heroine’s experiences to the communal/social dimen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후